[아이뉴스24 박희석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은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포럼에서 "대전과 충남의 행정 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개편이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도전"이라며 통합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이날 포럼은 성일종 국회의원을 비롯해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등 지방행정과 균형발전 전문가들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대전·충남 통합과 대한민국의 길'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대전은 한 세기 전 행정의 중심지로 충남도청이 이전해 오면서 발전의 전기를 맞이했고 이후 철도와 고속도로, 대덕연구단지를 통해 대한민국 과학 수도로 성장해 왔다"며 "그러나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이라는 현실 앞에서 대전과 충남 모두 더 이상 분절된 체계로는 생존과 도약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전과 충남은 경제·과학·행정이 밀접하게 연결된 생활권으로 이미 사실상 하나의 도시처럼 움직이고 있다”라며 “이를 제도적으로 통합하고, 행정·재정·산업의 연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권선동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이 다른 지역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관철되도록 노력하겠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대한민국이 발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발표에서 예산권, 조직·인사권 등의 과감한 권한 이양과 행정통합을 통해 지방을 준연방정부 수준으로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대전과 충남이 통합될 경우 인구 357만명, 지역내총생산 197조원으로 국내 3위 규모의 메가시티가 조성된다. 이는 부산광역시보다 큰 규모로 유럽 49개국 기준 인구 32위, GRDP(지역내총생산) 23위에 해당하는 세계적 위상이다.
이 시장은 "이제는 단순히 경쟁하는 도시가 아니라 함께 도약하는 공동체가 돼야 한다. 대전의 과학기술 역량과 충남의 산업 인프라가 결합되면 대한민국 성장 동력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며 통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성도 제시했다.
이어 "ABCD+QR(인공지능·바이오·탄소중립·국방+양자·로봇 등)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특별시가 국가 전략산업의 융복합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아울러 "특별시 내 균형발전을 위해 광역 교통망 구축과 권역별 특색에 맞는 산업 전략 추진, 주민 밀착형 생활 기반 시설 설치 등을 통해 권역별 생활·경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장우 시장은“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단순한 행정 통합이 아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국가 전략이며, 지역이 다시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이다”라며 “이제는 실천의 시간이다. 시민과 함께 반드시 이 도전을 현실로 만들어 내겠다”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