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며느리·손자 말 안 들려"…혹시 노인성 난청?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청력 40~70dB 이하는 보청기보다 치료가 우선

[정기수기자] # 추석을 앞두고 지난 주말 벌초를 하러간 주부 이모씨(45)는 시어머니의 모습에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씨가 불러도 대답이 늦거나 말귀를 못 알아듣고 때때로 멍한 표정까지 짓던 것. 처음에는 치매인 줄 알고 덜컥 겁부터 났지만, 남편 말은 잘 알아듣고 대답을 하는 것이 이상했다.

일반적으로 청력은 50세 이후부터 서서히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다 65세가 넘으면 본격적인 노인성난청으로 발전한다.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당사자에게는 대화 단절을 불러일으키는 괴로운 질환이며,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배우자나 가족들은 물론 심지어 본인마저 이를 자각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노인들의 경우 귀가 잘 들리지 않는 탓에 엉뚱한 대답이나 행동을 하기도 해 간혹 자식들로부터 치매에 걸린 것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기억장애, 실어증, 인지력저하 등의 지적능력 퇴행이 나타나는 치매와 달리 노인성 난청은 단지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뿐이다.

유종철 마포소리청한의원 원장은 "노인성난청의 경우 와우모세포와 청각신경이 퇴행변성을 일으키면서 내이의 유모세포도 함께 문제가 생긴 경우가 많다"며 "외부의 소리자극 없이도 매미소리, 파도소리 등 다양한 소리가 들리는 이명(귀울림)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노인성난청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노인성난청은 방치할 경우 청력상실은 물론 우울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보청기부터 착용하는 것은 청력회복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올바른 대처법이 아니다.

보청기는 청력검사 상 50~60dB(데시벨), 즉 중등도 이상의 청력저하 현상을 보일 때 사용을 고려해야 하고 본인의 청력, 난청발병 원인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 난청과 함께 이명(귀울림)이 동반될 경우 특정소리가 더욱 커져 청감(聽感)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이를 먼저 치료한 후 사용해야 한다.

유 원장은 "40~70dB 이하의 청력수준이라면 치료가 충분히 가능하다"며 "노인성난청을 완치시키는 것은 힘들지만 녹용, 산수유 등이 들어간 한약을 처방해 신장 기능을 강화하고 침 치료로 장부기능의 균형을 맞추면서 청각세포를 재생시키는 약침치료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보청기 없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완전한 청력회복이 어렵다는 점에서 노인성난청은 예방과 평소청력관리가 중요하다. 소음이 많은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영양공급과 휴식을 통해 몸의 면역력을 길러 청각세포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귓바퀴 전체를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부드럽게 비벼 주거나 귀뿌리를 전체적으로 지압하면 귀의 이문, 청궁, 각손, 예풍 등의 혈자리가 자극돼 난청예방에 도움이 된다.

다음은 노인성난청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다.

◆ TV볼륨을 크게 듣는다.

◆ 며느리 혹은 어린아이 말을 못 알아듣고 아들 말은 잘들린다.

◆ 뒤에서 불렀을 때 잘 알아듣지 못한다.

◆ 전화통화 시 한쪽 귀만을 사용하며 반대쪽 귀로 통화하기가 불편하다.

◆ 이명 증상을 호소한다.

◆ 고주파음에 해당하는 '하다, 사다, 차다' 등의 소리를 잘 못알아 듣고 '밤'이나 '밥'처럼 비슷한 말을 구분하지 못한다.

◆ 평소보다 목소리가 커졌다.

◆ 자꾸 되묻는 일이 많아지고 간혹 엉뚱한 대답을 한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며느리·손자 말 안 들려"…혹시 노인성 난청?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