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정태근 "청와대·국무총리실도 대기업 MRO 사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부 대기업 초과이익 공유제도 검토하는 판에 이율배반적"

[채송무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대중소기업 상생을 외치고 있음에도 청와대·국무총리실·국회·지식경제부·대법원·대검철청 등 주요 정부부처와 공공기관도 대기업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을 통해 소모성 용품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사진)은 7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을 앞두고 낸 보도자료에서 "정부는 대중소기업 상생 취지에 따라 대기업 초과 이익 공유제도 검토하는 상황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이 대기업 MRO로부터 대규모 구매를 지속하고 있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이 최근 3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전력, 중소기업청, 국회 사무처, 한국도로공사, 식품의약품 안전청 등 무려 33개의 정부 부처, 입법부와 공공기관이 대기업 MRO를 통해 사무용품이나 전자 소모품을 총 415억1천38만원 구매했다.

또, 조달청 나라장터는 삼성이 지분을 갖고 있는 '아이마켓코리아'와 LG가 지분을 가진 '서브원'을 통해 소모성 용품을 구매해왔다. 2008년~2011년 5월 말까지 정부 부처 및 산하 공공기관이 아이마켓코리아와 서브원을 통해 구매한 소모성용품은 422억4천891만원에 달한다.

특히 중소기업 정책을 주도하는 중소기업청 및 산하 중소기업 중앙회 등도 대기업 MRO를 이용하고 있고, 대통령실·공정거래위원회·국무총리실·국세청·대법원·헌법재판소·행정안전부·국회 사무청·조달청도 대기업 MRO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대기업 MRO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 비계열사 협력업체 등 거래 금지 ▲중소기업 적합 업종에 포함 ▲사업조정제도 활용 ▲중소기업, 소상공인 마케팅 전담조직 확대 강화 ▲대기업 MRO의 불공정행위 상설감시 기구 설치를 주장했다.

정 의원은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 MRO가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거래를 강요하고 물품남품업체에 가격 후려치기 등 불공정 거래가 없는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사진 정소희기자 ss082@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태근 "청와대·국무총리실도 대기업 MRO 사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