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삼성 이어 LG도 "MRO 사업 조정"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차 협력업체 이하 및 중소기업에는 진출 안해"

[박영례기자] 삼성 LG가 대기업의 계열 몰아주기 논란이 되고 있는 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신규 영업 중단 등 대책을 내놨다.

삼성이 계열사 MRO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IMK(아이마켓코리아)의 신규 고객 확보를 전면 중단 을 골자로 한 4대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LG 역시 2차 협력업체 이하 및 중소기업에는 진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25일 LG MRO업체 서브원은 지난 20일 중소기업청 주관으로 진행된 양측간의 사업조정회의를 통해 공구유통도매상들이 요구한 4가지 사항을 모두 받아들이기로 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그동안 공구유통도매상들은 MRO기업에게 2차 협력업체 이하 및 중소기업 진출 금지를 요구해 왔으나, 최근 서브원이 향후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신규 영업을 하지 않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그동안 걸림돌이었던 문제 해결단초가 제공, 공구상협회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공구상협회에서는 사업조정 요구사항으로 1. 기존 MRO사업 고객사에 대해 공구유통상의 불합리한 거래중단을 하지 않고, 2. 매년 초 중소기업중앙회 주관으로 적정 이윤 보장을 위한 협상 진행, 3. 공급회사 변경시 협회에 통보, 4. 2차 협력업체 이하 및 중소기업 진출 금지 등을 요청하였고

서브원은 그동안의 조정회의를 통해 상기 3항의 요구내용에 대해서는 이미 모두 수용했고, 중소기업 신규진출 금지 부문이 난항이었으나 이역시 받아들이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LG측은 "이제 공구상협회의 수용여부가 관건인데, 사업조정 신청시 요구한 4가지 사항이 모두 받아들여졌기에 조만간 자율합의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합의가 일단락 됐어도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게 LG측 설명이다.

대기업 MRO업계의 중소기업 진출제한이 합의된다면 결국 인력과 시스템이 부족하고, 원가 경쟁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중소기업의 경우는 MRO도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기존 유통 체계를 따름으로써 결국엔 MRO가 가장 필요한 중소기업은 공동구매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대기업 MRO와 거래하는 C중소기업에 따르면 "MRO를 통하면 분명 이익율은 적어지지만, 시장개척 영업비용, 구매IT시스템 개발비용, 대외 신인도 상승 등을 따지면 결코 불리한 거래는 아니다"라고 입장을 전했다.

이어 "특히 중소제조기업은 품질과 기술, 가격경쟁력이 있어도 인적유대등의 폐쇄적인 입찰구조로 진입장벽이 높아 새로운 거래선을 확장하기에 어려움을 겪어 온 게 사실"이라며 "그래도 MRO는 온라인 시스템의 구조로 돼 있어 입찰이 투명해 인력이나 자본이 부족한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에게 한 단계 도약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박영례기자 young@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 이어 LG도 "MRO 사업 조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