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한국형 달탐사, 국제협력 통한 경험 '우선'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제달탐사네트워크 사업 디딤돌로…우주개발 심포지엄

한국형 달 탐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제협력을 통해 달 탐사에 대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장영근 한국과학재단 우주단장은 19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한국형 달탐사의 타당성 및 전략'을 주제로 열린 우주개발 진흥전략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영근 단장은 "2020년 내 한국형 달 탐사를 성공하려면 1단계로 국제 달탐사 네트워크(ILN)사업을 디딤돌로 활용해 관련 기술 및 경험을 축적하고, 2단계로 2017년 1.5톤급 위성발사체(KSLV-2)자력발사 이후 독자적 달 탐사선을 발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INL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제안한 국제 달 탐사 협력 프로그램으로 공통 탑재체를 실은 각국의 6∼8기의 착륙선을 달 표면에 고루 배치해달 탐사를 수행하는 사업. 현재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인도, 한국 등 9개국 우주기관들이 참여의향서에 서명한 상태다.

장영근 단장은 "달 탐사는 예산문제, 필요성 등으로 논란이 있지만, 우주개발 기술능력 제고, 우주에너지 자원, 국가안보 역량 강화 등 과학기술·경제적·정치사회적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장 단장은 이어 "현재의 KSLV-2 개발일정은 KSLV-1의 발사지연으로 충분한 마진이 없는 상태로 충분한 가용인력과 예산확보가 필요하다"며 "우주분야의 원활한 국제협력을 위해서는 정부 대 정부 기관인 코리안 스페이스 에이전시 설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이날 행사에서는 달 탐사의 최종목표로 소형위성을 이용한 달샘플 채취, 귀환선 임무를 제시함으로써 기술고도화를 위한 구체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상률 사업단장은 '달 탐사를 위한 소요기술 분석'에서 "현재 달궤도선과 달 착륙선을 검토중이지만, 최종목표로 달샘플채취, 귀환 임무를 구체적으로 설정해 향후 행성탐사 등에 활용하는 등 기술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달 탐사를 위한 모든 임무를 KSLV-2 성능 내에서 개발하고, 기존 국내 개발 위성기술을 공유하며, 달탐사 개발사업을 통한 대규모 시설과 기술개발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단장은 "달 탐사 개발이 적은 비용으로 국내 기술의 연구개발을 선행하고, 고비용이 요구되는 실제 하드웨어 개발 여부는 국내 수준을 고려해 나중에 결정하도록 현재의 개발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기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임혜정기자 heather@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형 달탐사, 국제협력 통한 경험 '우선'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