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이통사가 음악산업 죽인다"...박성훈 벅스 사장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인터넷으로 무료 음악서비스를 제공해 검찰 기소까지 됐던 박성훈 벅스 사장이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동통신회사의 폐쇄적인 디지털저작권관리(DRM)정책과 벨소리 등 모바일 음악서비스 사용료 배분 문제를 정면으로 공격해 주목된다.

박 사장이 운영하는 벅스(www.bugs.co.kr)는 음악 저작권단체들과 합의해 지난 해 10월 유료화를 단행한 뒤, 로커스를 인수해 코스닥에 우회상장하고 최근들어 대만의 P2P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국음원제작자협회와 함께 300억원 규모의 음악전용펀드 '벅스캐피탈 1호'를 조성, 온오프라인 음원유통 사업 진출을 선언하기도 했다.

한 때 저작권자들과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던 벅스가 이제는 음악시장 유료화에 앞장서고 있는 셈이다.

박성훈 벅스 사장은 우선 "법적 공방이 있을 때에도 벅스가 음악저작권자들의 권리를 무시하려 했던 것은 아니다"라는 말로 운을 뗐다.

99년 벅스를 시작했을 때에는 협상창구가 제대로 없었고, 당시에도 벅스는 유료화를 반대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하지만 박 사장은 "지금은 관련법(저작권법개정안)이 법사위에 계류돼 있고, 유료음악서비스의 대체제인 P2P 유료화가 목전에 있는 등 온라인 음악서비스 시장이 만개할 기반이 잡혔다"고 평가했다.

한국음원제작자협회 등 권리자단체들이 P2P에 이어 웹하드(인터넷스토리지)를 이용한 무료 음원유통에 대해 법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도 "사실 웹하드를 통한 무료 음악 유통이 P2P보다 많다"며 "파란이나 그래텍 등 웹하드 기업들이 하는 불법행위가 많지만, 곧 제도적으로 정비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동통신회사가 음악콘텐츠 시장을 오히려 죽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한 때 3~4천억원에 달했던 음악시장이 1천억원 규모로 줄어든 것은 이동통신회사의 폐쇄적인 DRM 정책과 P2P나 웹하드 등 대체제를 정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SK텔레콤의 DRM정책은 오히려 소비자들의 권리보호를 저해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 유료로 구입한 음악파일을 휴대폰에서 맘대로 들을 수 없게 만드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하지만 이통사의 폐쇄적인 DRM 정책은 무료음악에 익숙해진 네티즌들이 돈주고 음악을 사는 구조가 정착됐을 때 해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사장은 "현재 인터넷으로 음악을 즐기는 대부분의 매니아들은 P2P나 웹하드를 이용한 무료에 익숙해 돈주고 산 음악파일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느끼지 못하지만, 제도적으로 유료음악의 대체제들이 정비되면 네티즌들이 직접 문제제기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박성훈 사장과 김경남 대표는 이통사들의 모바일 음악사용료 배분 문제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김경남 대표는 "지난 27일 토요일 음반제작자들이 모여 이동통신회사들이 45%정도의 수익을 배분하지 않으면 6월7일 GM엔터테인먼트 음원(SG워너비, 씨야 등)부터 순차적으로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결의했다"며 "이에대한 문제제기는 정당하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사장도 "이통사에서 서비스하는 컬러링 등 모바일 음악서비스의 경우 일단 50%는 망사업자가 갖고, 나머지를 콘텐츠업체(CP)와 제작자들이 나누게 돼 현재 음반제작사가 갖는 수익은 20~25%에 불과하다"며 "정부로 부터 주파수를 받아 통신사업을 하는 기간통신회사가 콘텐츠에까지 들어와 콘텐츠 산업을 죽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사장은 이날 SK커뮤니케이션즈의 도토리 5개(500원)를 주고 싸이월드의 배경음악으로 쓰는 BGM에 대해서도 "최근 음악 저작권 권리자들이 매장에서 돈 3천원을 주고 공개적으로 음악을 트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듯 권리자들의 문제제기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같은 박성훈 벅스 사장과 김경남 벅스 대표의 발언은 (사적복제를 제한해) 지나치게 권리자쪽으로만 기운 게 아닐까.

박성훈 사장은 이와관련 "다운로드와 달리 스트리밍서비스는 무료여야 한다는게 소신"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룰이 있어 따를 뿐이지, 스트리밍은 무료여야 더 큰 시장이 만들어진다"며 "옷을 살 때에도 한번 입어보고 사듯이 스트리밍은 무료로 풀고 간직하는 다운로드에서만 돈을 받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통사가 음악산업 죽인다"...박성훈 벅스 사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