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벅스, 오프라인 음반 제작 및 유통 사업 진출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 해 음악서비스 유료화를 선언한 음악 포털 벅스(대표 김경남 www.bugs.co.kr)가 오프라인 음반 제작 및 유통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벅스는 2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군소기획사 투자, 온∙오프라인 음원 유통 판권 확보, 신인 발굴 등 음반레이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음원 수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양질의 음악 콘텐츠 양산을 통해 음악시장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1천200여개 군소 음반 레이블을 대상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온∙오프라인 판권 사업도 활발히 펼칠 방침이다.

벅스는 이와관련 최근 수호, S.N.A 등 유망한 신인 가수들의 디지털 판권을 확보한 바 있다.

이를 OST, 인디∙언더 밴드 음반 등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

박성훈 벅스 사장은 "지난 4월 한국음원제작자협회, 증권사 등과 함께 100억원의 자본금으로 벅스캐피탈을 만들었다"며 "법인이 만들어지면 300억원 규모의 음악전용펀드 '벅스캐피탈 1호'를 이용해 본격적인 투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벅스는 오는 8월부터 공개 오디션을 통해 역량있는 신인 가수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벅스는 올해를 대만 등 해외 진출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최근 대만의 P2P 및 온라인 음악 서비스업체를 인수합병(M&A)한 데 이어, 또다른 기업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

박성훈 사장은 "인수합병이 진행되고 있는 2개업체중 엔터테인먼트 회사는 저작권단체들과의 수익분배 문제로 아직 도장을 찍지는 않았다"며 "서비스 플랫폼을 확장하는 의미에서 제3의 인수기업을 물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관련업계에서는 벅스가 커뮤니티 관련 회사를 추가인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사장은 "대만의 경우 올해 말까지 저작권권리관계가 정립돼 유료서비스의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은 2008년 북경올림픽을 기점으로 저작권보호 문제가 정리돼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벅스는 중화권 음원 확보의 핵심 기지인 대만을 먼저 공략한뒤, 이를 발판으로 중국 진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편 벅스는 로커스 인수이후 사명을 벅스인터랙티브로 바꾸고, 벅스인터랙티브에 대한 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박성훈 사장은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싱가폴과 홍콩에서 IR를 개최할 계획"이라며 "그동안 우회상장사에 대한 여러가지 우려때문에 공개 IR을 못했는데, 이제는 주가도 안정돼 공식적으로 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벅스인터랙티브는 이와관련 엔터테인먼트 사업외에 홍보대행사 예스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하는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마케팅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박 사장은 "지난 7년동안 온라인 음악서비스를 하면서 온라인만으로는 안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인재영입 차원에서 예스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벅스에 합류한 함시원 부사장(전 예스커뮤니케이션 대표)은 "벅스는 일종의 뮤직 미디어"라며 "예스에서 경험한 기업 마케팅 지원활동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기업컨설팅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벅스, 오프라인 음반 제작 및 유통 사업 진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