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전경련, 한일 협력 3대 신산업 '반도체·배터리·모빌리티' 제안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양국 정부 간 공식 대화채널 복원·공동연구 성과 공유 등 정책도 필요"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정상화된 한일 관계를 기반으로 한국경제의 새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 경제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28일 전경련이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신산업 분야 한일 협력 증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한일 협력이 유망한 신산업 분야로 ▲차세대 반도체 ▲전기차․배터리 ▲모빌리티가 꼽혔다.

보고서는 한국의 반도체산업은 D램의 미세화, 낸드플래시 적층화 등 기술적 측면에서 물리적 한계에 도달했고, 대외적으로도 미국의 자국 주도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의 입지가 협소해졌다고 분석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의 반도체산업이 당면한 위기에서 벗어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능과 소재 측면에서 기존 반도체보다 진화된 차세대 반도체를 경쟁국보다 먼저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본과 공고한 기술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 ▲양국 간 경쟁우위를 활용한 원천기술 등 공동개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일본 내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한국의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일본 첨단기업 유치 등을 제시했다.

산업연구원은 과거에 삼성전자 등 국내기업이 일본의 소니, 도시바 등과 기술을 공동개발한 사례, 최근 일본이 대만의 TSMC 후공정 생산 시설을 유치한 사례 등을 고려할 때 이 같은 협력방안이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배터리도 협력 분야로 꼽혔다.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전기차로 전환이 급격히 이뤄지고 있어, 핵심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 한일 간 기술협력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중국 등 신흥 자동차 생산국은 내연기관차에서의 경쟁열위를 전기차를 통해 역전시키기 위해 배터리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등 완성차 강국들도 향후 2035∼2040년 경 내연기관차의 생산을 축소 또는 중지를 목표로 배터리 육성정책을 실시한다. 산업연구원은 소재부문의 대외의존도가 큰 배터리 산업의 특성 상 일본과 협력 효과가 클 것으로 추정했다.

모빌리티 산업도 다양한 기회가 열릴 수 있는 분야로 채택됐다. 이 산업은 자율주행 기술 외에도 ▲고정밀 지도 작성 기술 ▲배터리 기술 ▲MaaS(Mobility as a Service) 플랫폼 ▲양자컴퓨터 기술 등 다양한 신기술이 필요하며, 그만큼 양국의 기술협력 기회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어서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 양국은 2019년 관계가 경색되면서 상호발전 관계가 상당부분 축소된 상태"라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후변화 등 대외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응한다면 신산업 분야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혜정 기자(hye555@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경련, 한일 협력 3대 신산업 '반도체·배터리·모빌리티' 제안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