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활용 '사실상 전무'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 6개월…'폐쇄적인' 정부

[김국배기자]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의 마중물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는 공공 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정부가 민간 클라우드 이용보다는 자체 클라우드 구축에 치중하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29일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공공 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정부가 지난해 9월 이른바 '클라우드 발전법'까지 시행하며 분위기를 조성했지만 클라우드 이용은 생각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다. 공공 부문 민간 클라우드 확산의 장애 요인은 역시나 보안 우려, 클라우드에 대한 인식 부재 등이 꼽히고 있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는 보안 인증제를 마련중이다.

그러나 이런 배경을 떠나 정부의 클라우드 전략이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가 민간 퍼블릭 클라우드를 업무용으로 쓰는 것보다 정부만을 위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클라우드 발전법에 따라 마련된 'K-ICT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은 대부분 민간 클라우드보다 정부 클라우드(G-클라우드)나 자체 클라우드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게 돼 있다.

특히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정보자원 중요도를 떠나 100% G-클라우드가 우선이다. 현재로선 보안 우려 등이 해소된다 한들 민간 클라우드 활용 범위가 넓지 않은 셈이다.

반면 미국의 경우 2014년 기준 IT 예산의 2%만 클라우드를 활용하지만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적인 편이다. 서광규 상명대 교수는 "미국이 공공 부문에서 클라우드 많이 쓴다고 하지만 예산 대비로 보면 그렇게 많이 활용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그래도 퍼블릭 클라우드를 쓰는 건 관심있게 봐야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자체 클라우드 구축만으로는 충분한 가용성을 얻을 수 없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대세는 하이브리드(Hybrid) 클라우드라는 것이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기술임원 김명호 상무는 "G클라우드와 민간 클라우드는 철학 자체가 다르다"며 "정부만의 클라우드를 구축하는 것은 클라우드의 근본 목표이자 장점인 가용성에 대한 최적의 선택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제3자에게 무언가를 맡기는 것이 위험하다고 생각하지만 한 곳에 모든 정보를 집적하는 것도 위험하긴 마찬가지"라며 "정부 클라우드는 모든 정보자원이 국내에만 있어 만약에 발생할 지 모르는 자연재해나 물리적 공격에 대처하기가 쉽지않다"고 덧붙였다.

김국배기자 vermeer@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활용 '사실상 전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