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이 늘었다. 내수 부진으로 숙박 음식과 운수업종 등이 타격을 받으면서 주저앉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 우려도 커졌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외감기업에서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배를 밑돈 한계기업 수는 16.4%였다.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이 12.5% 늘었고 중소기업은 17.4% 증가했다. 이들 한계기업의 차입금 규모도 26% 증가했다. 대기업이 23.3%, 중소기업은 31.9% 확대됐다.
업종별로 숙박 음식 비중이 59%에 달했고 △운수(49.2%) △전기가스(46.1%) △부동산(43.8%) 업종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공(0.2%)과 석유화학(4.1%) 등은 한계기업 비중이 낮았다.
한계기업이 늘며 금융기관 건전성도 적신호가 켜졌다. 지난해 말 예금취급기관의 한계기업 신용공여 비율은 8.5%에 달했다. 지난해 말 은행의 한계기업 신용공여 비율은 10%로 전년 대비 2.4%포인트(p) 상승했다. 상호금융과 저축은행도 각각 3.5%, 7.6%로 전년 대비 1%p, 2.5%p 증가했다.
한계기업들은 진입 첫해에 총자산 영업이익률이 정상 기업 대비 7.7%p 낮았고 유동비율은 62.4% 낮았다. 한계기업 진입 이후에도 적자 상태가 5년간 지속됐다.
한계기업들은 진입 2년 전부터 정상기업보다 최대 8.2% 큰 규모의 차입을 해왔다. 한계기업은 이자율도 정상기업보다 평균 0.95% 높아 부실가능성도 높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은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통해 한계기업 징후가 높은 기업을 선별함으로써 차입금에 의존한 일부 한계기업이 장기 존속하여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