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표결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내홍이 고조되고 있다. 이 대표의 단식투쟁을 이유로 한 단결론과 '불체포특권 포기' 공약을 지켜야 한다는 반대론이 엇갈리면서 표결 결과를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워졌다.
이날 이 대표가 SNS를 통해 공개적으로 부결을 요청하면서 당내 부결론 기조가 강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당내 비명(비이재명)계를 자극해 반란표 가능성을 높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친명 "압도적 부결 필요" vs 비명 "반란표 가능성 높다"
앞서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이 대표 체포동의안 보고 절차를 마쳤다. 법률에 따라 체포동의안은 본회의 보고 이후 24시간~72시간 이내에 표결에 부쳐야 하기 때문에 21일 본회의에서 표결될 전망이다.
국회의원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 출석의원 반수 이상 찬성이 가결 요건이다. 현재 출석 가능 의원은 이재명 대표, 구속 중인 윤관석 무소속 의원을 제외한 295명이다. 가결 기준은 148명이 되는데 국민의힘(111명), 정의당(6명), 여권 성향 무소속(2명), 시대전환·한국의희망(각 1명)등 찬성이 확실한 121명을 제외하고 야권에서 27명 이상의 이탈표가 나오면 가결이 가능하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2월 자신의 첫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30여 명의 반란표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친명(친이재명)계는 이 대표의 장기 단식으로 인한 동정 여론으로 당내 단결을 통한 부결을 확신하고 있다. 한 친명계 중진 의원은 이날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검찰은 이 대표가 단식 중 병원에 실려가는 상황(18일 아침)에서도 눈 하나 깜짝 않고 영장을 쳤다. 의원들 사이에서 검찰이 작정해 몰아가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며 "당론 여부를 떠나 이번만큼은 압도적 부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 지지자를 비롯한 원외 친명 세력 역시 의원들에게 부결을 압박하거나 이탈표에 대한 정치적 보복(강위원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사무총장)을 언급하는 등 부결 여론을 키우고 있다. 그러나 비명계 대표인사인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지난 2월 말 1차 체포동의안 반란표를 38표라고 예측하는데 가결을 던진 의원들은 대부분 또 한 번 가결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탈표 가능성을 남겨뒀다.
◇李 '불체포특권 포기' 뒤집기…전문가 "정치인 자산은 신뢰도"
급기야 이 대표는 이날 SNS를 통해 민주당에 부결표를 요청하며 사실상 자신의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을 뒤집는 '초강수'를 뒀다. 이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명백히 불법부당한 이번 체포동의안의 가결은 정치검찰의 공작수사에 날개를 달아줄 것"이라며 "검찰 독재의 폭주기관차를 국회 앞에서 멈춰 세워 달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이 대표의 막판 발언을 두고 당내의 반응은 더욱 엇갈리고 있다. 친명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표결을 두고 당이 뒤숭숭한 모습을 보이는 만큼 이 대표가 충분히 하실 수 있는 말"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한 비명계 의원은 "사실상 자신의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을 스스로 뒤집은 건데 공감대가 생기겠느냐"며 안타깝다고 했다.
중립 성향의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대표의 의중은 알 수 없으나 의원들의 판단에 맡겨도 될 일인데 안해도 될 말을 한 것 같다"며 "이탈표만 자극하는 긁어 부스럼만 만든 꼴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도 이 대표의 발언이 당내 불안을 가중해 예측 가능성을 떨어뜨린 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정치인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신뢰도다. 자신이 공약한 것(불체포특권 포기)을 정면으로 뒤집는 발언이 결코 당내에 좋은 영향을 주리라 보긴 어렵다"며 "이탈표로 인한 가결 전망도 상당히 높아졌다고 본다. 결국 (표결에서) 까 보면 알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비공개 의원총회를 통해 체포동의안 표결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그러나 당내 이견으로 인해 표결 직전까지 추가 논의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관계자는 "표결에 집단 불참하자느니, 당당하게 부결표를 던지자느니 하며 의원들의 의견이 다양하게 분출하고 있다"며 "쉽게 합의를 도출하긴 어렵다. 내일 본회의 직전까지 토론이 계속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