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숙기자] 북한의 잇단 전쟁도발 위협으로 한반도 정세가 끝 모를 긴장 국면에 빠져든 가운데, 정치권 내에서 대북 특사 필요성을 놓고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청와대가 "대화를 두려워하지 않지만 급하다고 해서, 위기라고 해서 섣부를 대화를 시도하지 않는다"(김장수 국가안보실장)며 정치권 일각의 '대북특사 파견론'에 쐐기를 박았지만,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대북특사 파견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남북 간 대화의 물꼬를 트고 긴장을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반대하는 쪽에서는 북한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참여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낸 민주통합당 정동영 상임고문은 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특사 논의는 현실성은 제쳐두더라도 긴장 완화의 효과가 있다"며 대북특사 파견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정 상임고문은 또 "북한 입장에서 보면 B-52 핵폭격기, B-2 스텔스기, F-22 첨단전투기, 핵잠수함 등 미국의 군사력 시위에 두려움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특사를 원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로서는 미국에 특사 파견을 촉구할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최고위원도 최근 "협상력을 키운다는 측면에서도 대북 특사를 여러 해법 중 하나로 가져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고, 길정우 의원 역시 "특사는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메신저다. 한반도 문제는 직접 당사자인 남북 간 대화로 풀어야 되는 것으로 형식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북핵안보전략특위 위원장인 원유철 의원은 YTN 라디오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에서 "장기적으로 대북특사 뿐만 아니라 남북 정상회담도 필요하다면 해야겠지만, 아무래도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원 의원은 "지금은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 UN안보리가 제재 결의안을 냈고 국제사회가 비판하는 상황이고, 북한은 연일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가 먼저 대북특사를 제의한다고 해서 북한이 받아줄 것이라는 확신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내부에서 특사 파견 문제가 계속 불거질 경우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다"며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김성태 의원은 "물에 빠진 사람을 구출하러 갈 때는 좀 기운이 빠졌을 때 들어가야 한다"며 "북한이 저지른 북 치고 장구 치는 행위에 자연스럽게 기운이 빠졌을 때 대화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