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예진 기자] 부산광역시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시행을 앞두고 ‘비상수출 대책 2.0’을 수립·추진한다.
시는 지역 수출기업의 97%가 중소기업인 만큼 이들 기업이 관세정책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지난 1월 시가 수립한 ‘비상수출 대책 1.0’을 보완·확대한 ‘비상수출 대책 2.0’은 △관세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 확대 △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대응체계 구축 등 5개 분야 10대 핵심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먼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라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에는 1개사당 대출한도 8억원(향토기업은 9억원)의 긴급 운전자금을 모두 1000억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앞으로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서도 지방세 납부 기한 연장과 징수·체납처분·세무조사 유예 제도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연간 수출실적 3000만달러 이하 중소기업에 대해 200만원 한도로 기업 수요가 많은 4종의 수출보험료를 확대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기업의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 지역 수출중소기업의 수출바우처 지원 분야를 신설하고 해외 물류비 지원 대상 업체를 300여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현지 협력 공동물류센터를 기존 3곳에서 5곳으로 확대해 미주 구매자에게 신속한 제품 공급이 이뤄지도록 도울 예정이다.
기업들의 수출 개척을 위해 ‘글로벌 사우스’ 지역 등 코트라 선정 해외 진출 유명 6개국 등에 해외 전시회 참가 및 무역사절단을 파견하고, 해외규격 인증 취득 및 지식재산권 출원에 드는 비용의 지원 대상과 규모를 확대한다.
아울러 ‘관세 대응 119’ 원스톱 상담창구를 설치해 기업의 상황에 맞는 전문 상담을 제공하는 등 전방위적 위기대응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은 “국가적 경제 안보가 위협받는 현재의 통상 위기 속에서 부산 기업은 부산이 직접 지켜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적시적기에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