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기자] KT호를 이끌 새로운 선장으로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이 내정되면서 황창규 CEO 내정자에 대한 내외부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ICT 분야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무노조 경영으로 잘 알려진 삼성전자 출신이라는 점이 그의 발목을 잡을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KT CEO추천위원회는 지난 16일 차기 CEO 후보로 황창규 내정자를 추천했다. 추천위원회는 황창규 내정자가 대표적인 IT분야 전문가이면서 새로운 시장창출 능력과 비전실현을 위한 도전정신을 보유했고 지경부 R&D전략기획단장으로서 국가의 CTO를 역임하는 등 ICT 전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다양한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황창규 내정자는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전자공학 박사로 삼성전자 기술총괄사장을 역임한 대표적인 전문경영인이자 반도체 분야의 권위자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집적도가 1년에 두배씩 늘어난다는 이른바 '황의 법칙'이라는 메모리 성장론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황창규 내정자는 "글로벌 신시장을 개척했던 경험을 통신 산업으로 확대해 미래 ICT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창의와 혁신, 융합의 KT를 만드는 데에 일조하겠다"며 "비전을 나누고 참여를 이끌어 KT 경영을 정상화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내정 소감을 밝혔다.
◆ICT 전문가 '기대', 삼성 출신이라 '우려'
KT 차기 CEO로 황창규 내정자가 내정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업계 안팍에서 다양한 평가가 나오고 있다.
KT 내부의 평가는 일단 긍정적인 얘기가 많다.
KT 노동조합은 정부의 낙하산인사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였다. 노조 측은 그러나 삼성전자 출신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무노조 경영을 하던 삼성전자와 거대 노조를 보유한 KT의 문화가 다른점이 많다는 얘기다.
KT 노조 관계자는 "일단 정부의 낙하산 인사로 보지 않는다"며 "차기 CEO 선출은 비교적 잘 이뤄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새 CEO가 노조와 잘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면서 "본인이 무노조경영에 익숙하다고 할지라도 KT에서는 노조와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T 광화문 지사 관계자는 "황창규 내정자 소식에 직원들의 기대감이 높다"며 "그동안 침체되고 정체된 KT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걱정의 목소리도 들린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황창규 내정자는 이른바 황의법칙으로 잘 알려진 반도체 분야 전문가"라며 "반도체 분야에서는 최고의 권위자이지만 통신업계 경험이 전무하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제조업 전문인 삼성전자와 달리 통신산업의 특수성을 감안해야 하고 성장정체의 돌파구를 찾아내야 하는 막중한 역할을 떠맡았기 때문이다.
◆황창규 내정자가 풀어야 할 과제는?
황창규 내정자는 내년 1월에 열릴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차기 CEO로 확정된다.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으면 황 내정자는 오는 2017년 3월까지 KT를 이끌게 된다.
일단 황 내정자는 부진한 KT 실적을 끌어올려야 한다. KT는 지속적으로 유선매출과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지난해 1분기 1조6천억원대였던 유선매출이 올해 3분기 1조4천억원대까지 줄었다. 무선매출도 성장하지 못하고 1조 7천억원대에 머물러 있다.
무선가입자 수도 계속 줄어들고 있다. 올해에만 이미 54만명 가량의 가입자가 순감했다. 경쟁사인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에 많은 가입자를 내줬다는 의미다. 가입자평균매출도 경쟁사들은 3만4천원대로 올라갔지만 KT만 3만1천원대에 머물러있다.
BC카드, KT렌탈 등 비통신 분야의 매출이 늘어나면서 전체 실적은 큰 변화가 없지만 주력분야인 통신분야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은 황 내정자가 극복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전임 이석채 회장이 추진했던 해외 사업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KT는 르완다에 향후 3년간 1천500억원을 투자해 LTE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케냐와도 비슷한 사업을 진행, 향후 아프리카 LTE 네트워크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프리카에 투자하는 LTE 네트워크는 언제 투자비 이상의 매출을 끌어낼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사업"이라며 "신임 CEO는 이 사업에 대한 필요성, 수익성 등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준기자 jjoony@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