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역대급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김 업체들의 표정이 밝지만은 않다. 수출 물량이 급등하며 원재료 가격까지 치솟은 탓이다. 더 이상 원가 압박을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물가 안정' 기조를 앞세운 정부의 협조 요청에 반기를 드는 것도 부담되는 터라 속앓이를 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기준 마른김 1속(100장)의 국내 도매 가격은 평균 9072원으로 전년 동기(6577원) 대비 약 38% 올랐다. 한달 전 평균 가격(7747원)과 비교해도 약 17% 증가했다. 도매가 상승에 따라 소매가 역시 오름세다. 지난달 13일 기준 마른김 10장당 소매 가격은 평균 1158원으로 1년 전 999원과 비교해 약 16% 올랐다. 한달 전 가격 1107원과 견줘봐도 4%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소매 가격 상승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치솟고 있는 김의 인기 때문이다. 해외 시장에서 밥반찬을 넘어 저칼로리 건강 스낵으로 주목받으며 수출량이 폭등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김 수출액은 7억9100만달러(약 1조6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1년 전(6억4800만달러)과 비교해도 22.2% 증가한 수치다. 놀라운 수출 성과에 '검은 반도체'란 별명이 붙었을 정도다.
덩달아 김의 원재료인 원초 가격도 과거보다 2~3배가량 올랐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김의 원재료인 원초 가이 무서울 정도로 오르고 있다. 김 수출량이 늘어난 것은 물론 원초 자체의 수출 물량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늘어날 수출 물량을 감당할 만큼 생산량이 늘진 못하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24년산 김 생산량(2023년 10월~2024년 2월)은 약 1억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했지만, 여전히 수요를 따라가기 버거운 상황이다. 당분간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늘기도 어려운 구조다. 김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국가가 한국, 중국, 일본 3국밖에 없는 탓이다. 최근 인기를 얻기 전 특유의 검은색 등으로 김이 기피 식품이었던 점과, 위도 34~37도 해안에서만 최적의 제품이 탄생하는 특성 등이 맞물린 결과다. 향후 정부 차원에서 김 증산을 위해 축구장 2800개 넓이에 해당하는 신규 양식장을 만들고, 김 육상 양식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지만 단기간에 상황을 개선시키긴 어렵다.
이에 따라 김 업체들은 소매 가격을 추가 인상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정부 압박에 큰 소리를 내진 못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주요 식품업체를 잇따라 찾아 물가 안정에 동참해 줄 것을 요구하는 중이다. 김은 그 중 정부가 특별히 공들이는 품목 중 하나다. 지난달 말엔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이 국내 대표 김 제조업체 6곳(동원F&B, CJ제일제당, 대상, 성경식품, 대천김, 충남마른김수협)의 관계자들과 만나 김 가격 안정을 직접 당부하기도 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총선은 끝났지만, 정부 물가 안정 기조가 워낙 확고한 만큼 당분간 김 소매 가격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눈치를 안 볼 수 없을 것"이라면서도 "시간문제다. 원재료 가격 인상폭이 기업들이 감당할 수준을 넘었다. 대다수 업체가 가격 인상 시점을 검토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