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그린피스 "갤노트7 폐기는 막대한 자원낭비"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전 세계 소비자들과 함께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 진행

[강민경기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삼성전자가 지난달 단종시킨 갤럭시노트7(이하 갤노트7)을 단순 폐기할 경우 엄청난 양의 자원이 낭비된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는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자원 재사용 방안 등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고 1일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전 세계 시민들과 함께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독일의 환경 영향성 조사기관 외코인스티투트(OEKO Institute)에 따르면, 현재까지 생산된 430만 대의 갤럭시노트7에는 많은 양의 귀금속과 희소금속이 사용됐다. 여기에는 약 ▲금 100kg ▲은 1천kg ▲코발트 2만kg ▲팔라듐 20~60kg ▲텅스텐 1천kg 등이 포함돼 있다.

이현숙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 정보기술(IT) 캠페이너는 "갤노트7 사태는 아직 완전히 마무리된 것이 아니고, 수거되거나 창고에 방치된 제품들을 얼마나 친환경적 방식으로 처리하는지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자원의 재사용이 가능한 순환 경제를 위한 결정을 내린다면, 고객들의 신뢰를 다시금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갤노트7의 연이은 발화 사고로 인해 출시 2개월 만에 해당 모델을 단종하고, 이미 판매된 제품을 회수 중이다. 그린피스는 갤노트7이 총 430만대 생산됐으며,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를 포함해 전세계 10여개국에 180만대 이상이 판매됐다고 집계했다.

삼성전자의 발 빠른 대처로 갤럭시 사태는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남았다. 삼성전자가 현재까지도 이미 생산됐거나 회수된 제품의 처리 방안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는 것이 단체 측 설명이다.

그린피스는 '갤럭시를 구하라' 캠페인을 통해 삼성전자가 이번 갤럭시노트7 사태를 계기로 현명한 자원 활용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시민들의 서명을 받아 삼성전자에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그린피스는 전자기기의 자원 재사용 문제는 단순히 갤럭시노트7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대부분의 전자제품 제조사들은 수명이 다한 제품의 수거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수거된 제품을 대부분 단순 폐기 처리하고 있다. 전 세계 폐휴대폰의 수거 및 재활용률은 20%를 밑돌며, 한국의 경우 4%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밖에도 그린피스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재활용률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제품의 초기 생산 단계에서부터 재사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수리가 쉽고, 재사용이 쉬운 제품을 만들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 캠페이너는 "전자기기에 쓰인 막대한 자원을 감안하면, 기기에 대한 재사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제품 생산 방식도 변해야 하고, 제품 디자인도 재사용을 염두해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피스는 오는 10일 외코인스티투트에 의뢰한 전자제품에 쓰인 자원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를 전 세계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강민경기자 spotlight@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그린피스 "갤노트7 폐기는 막대한 자원낭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