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새누리號 키 잡은 이정현, 난제 수두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계파 갈등 해소 최우선 과제…당청관계·대선관리 등 중책

[윤채나기자] 새누리당이 9일 오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이정현(3선·전남 순천) 의원을 신임 당 대표로 선출했다.

개정된 당헌·당규에 따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서 당 대표의 권한은 전 보다 강화됐다. 명칭부터 기존의 '당 대표최고위원'에서 '당 대표'로 변경됐고, 인사를 비롯한 당무에 있어 사실상 전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이정현 신임 대표가 향후 당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그러나 앞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대 총선 참패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당을 추스르고 내년 대선 승리로 이끌기까지 각종 난제를 헤쳐나가야 할 책임도 무겁기 때문이다.

이 대표의 최우선 과제는 계파 갈등 해소다. 주류인 친박계와 비주류인 비박계 간 갈등은 총선 공천 과정에서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당대회 과정에서 불거진 '공천 녹취록 파문', '오더 투표' 논란으로 악화일로를 걸었다.

일단 이 대표는 취임과 동시에 '화합'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 가늠자는 당직 인선이 될 전망이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공언한대로, 총선 참패의 원인으로 지목된 공천제도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도 높다.

다만 계파 갈등이 완전히 해소될지 여부에 대해선 부정적 시각이 대다수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경선 룰 논의가 본격화하면 각 계파가 자파 대표주자를 대선 후보로 내세우기 위해 경쟁하면서 갈등이 재점화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대표로서는 이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대선 관리에 공정을 기하는 동시에 정권 재창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승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당·청 관계는 어느 때 보다 긴밀해질 전망이다. 비박계인 김무성 전 대표 시절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파문', '옥새 파동' 등으로 대표되는 당·청 갈등은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이 대표 체제 하에선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대야(對野) 관계 재정립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 대표는 박근혜 정부 핵심 국정과제 완수를 위해 당 차원에서 적극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구조조정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야당의 반발이 거세 협상에 난항이 불가피하다.

윤채나기자 come2ms@inews24.com 사진 조성우 기자 xconfind@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새누리號 키 잡은 이정현, 난제 수두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