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새정치 이어 새누리도…공천 갈등 점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오픈프라이머리 불가론' 확산, '김무성 흔들기' 의구심까지

[윤미숙기자] 내년 총선 공천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 갈등이 또 다시 표면화하는 모양새다.

발화점은 김 대표가 '정치 생명을 걸고' 추진 중인 오픈프라이머리(국민공천제)다.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천 관련 혁신안 통과 이후 오픈프라이머리 실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친박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 실현 불가론은 김 대표 책임론과도 무관치 않다는 점에서 친박계가 조직적으로 '김무성 흔들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흘러나오는 등 당 전체가 뒤숭숭한 상태다.

◆서청원·윤상현 이어 원유철까지 "오픈프라이머리 어려워"

원 원내대표는 18일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혁신안을 통과시켰는데 그 내용을 보면 여야가 함께 오픈프라이머리를 추진하기 어렵다"며 "국민공천제의 취지를 살리려면 국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친박계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실현 불가능론을 펴며 김 대표를 압박한 데 이어 원 원내대표까지 가세한 것이다.

원 원내대표는 김 대표 책임론에 대해서는 "앞으로 이 문제를 가지고 당내에서 치열한 토론과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 당이 잘 대처해야 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앞서 서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문제에 대해 김 대표가 정치적인 생명을 걸고 관철하겠다고 한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 이 문제가 어려워졌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김 대표의 떳떳한 이야기가 전제되고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오픈프라이머리 좌절에 따른 김 대표 책임론을 우회적으로 제기한 셈이다.

이 같은 기류는 윤 의원의 '김무성 대권 불가론'과 얽히면서 친박계의 김 대표 흔들기설로 번지고 있다.

김 대표가 '국민공천제추진TF'를 긴급 소집해 오픈프라이머리 관철 의지를 재확인한 데 이어 한때 중단했던 최고위원회의 직후 백브리핑을 재개, "서 최고위원도 경선 때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다"며 불쾌감을 표출한 것도 자신을 향한 친박계의 공세를 두고 보지만은 않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김무성 흔들면 대통령 레임덕" 비박 반발

김 대표와 가까운 비박계 인사들도 '반격'에 나섰다. 김성태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서 최고위원의 발언은 국민들이나 언론이 볼 때 분열 양상의 발언이 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완전한 오픈프라이머리가 어렵다고 해도 국민에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취지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방법을 찾을 때가 온다"며 "당내 어떤 정치세력에 의해 김 대표가 책임을 지고 거취를 결정하라는 데까지 간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김 의원은 윤 의원의 '김무성 대권 불가론'에 대해 "술에 취해 한 이야기인지 맨정신으로 한 이야기인지 궁금할 정도"라며 "'김무성 흔들기'를 통해 차기 대선 권력 갈등을 일찌감치 표면화시키는 자체가 대통령의 레임덕을 재촉할 수 있는 길"이라고 꼬집었다.

전날 김용태 의원도 "이 시점에 왜 이런 발언을 했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새누리당을 위해 무슨 득이 되는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윤 의원을 비판했다.

당 안팎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를 고리로 재점화한 공천 갈등이 내년 총선을 겨냥한 것인 만큼 시간이 갈수록 격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윤미숙기자 come2ms@inews24.com 사진 조성우 기자 xconfind@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새정치 이어 새누리도…공천 갈등 점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