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스마트카 시대 임박…투자자가 선점할 길목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신한투자 "車, 이젠 전자제품-인포테인 허브-IoT 허브로 접근할 만"

[이혜경기자] 신한금융투자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되는 자동차산업, 즉 미래형 자동차에 대해 중장기 관점에서 주목해야 한다고 24일 분석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지난 100여년간 꾸준히 발전해온 자동차가 이제 전기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과 융합되면서 또 한번의 진화를 앞두고 있다"며 "스마트카, 커넥티드카 등 미래형 자동차의 성장전망이 매우 밝고 이를 육성하려는 업계의 노력도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이 같은 미래형 자동차를 크게 ▲고도화된 바퀴 달린 전자제품 ▲인포테인먼트 허브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허브 등 세 가지 카테고리로 인식해 접근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자동차 자체를 전자제품으로 바라보며 기능의 고도화 경로를 볼 경우, 무인 자동차(자율 주행)나 전기 자동차와 같은 기계적 진화를 참고할 때 기존 자동차 제조 부문(내연기관, 배터리, 충전, 변속, 제어시스템 등)은 물론이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카메라, 위치 정보, 센서 등의 산업 성장도 가능하다고 봤다.

자동차를 새로운 휴식 공간으로 생각하고 사용자들에게 정보와 재미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관점에서 생각할 경우, 애플카(가칭) 사례와 같이 모바일 환경과 결합하는 콘텐츠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시장 성장의 기본 바탕이 된다는 판단이다. 나아가 자율 주행 기술이 보편화(운전 부담 경감)될 경우 시장 파급력이 배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를 모바일 허브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사물 인터넷(IoT) 성장과 궤도를 맞추면서 자동차가 다양한 일상 편의를 제공할 여지에 주목할 만하다고 파악했다. 예를 들어 주변 차량과 클라우딩이 가능해지고 신호등, 요금 지불 등 기존 교통 인프라와 실시간 통신을 연결해 스마트 드라이빙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실시간으로 자동차 상태를 진단하거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응급 서비스로 자동 연결하는 방법 등도 연구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보면 기능고도화와 관련해서는 전기차 관련주인 삼성SDI, LG화학, 일진머티리얼즈, 우리산업, 그리고 내비게이션과 카메라 모듈 관련해서는 엠씨넥스, 세코닉스, 팅크웨어, 삼영전자, 또한 블랙박스 및 인공제어시스템 관련해서는 파인디지탈, MDS테크에 관심을 둘 만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포테인먼트 측면에서는 기존 음악, 영화 등 콘텐츠 제공 분야의 로엔, KT뮤직, 네오위즈인터넷에, 간편한 디바이스 구동 분야에서는 지문·음성인식 관련주인 슈프리마, 크루셜텍, 디오텍에, 고성능 스피커 및 내장재 관련주로는 에스텍, 백산, 대원화성에 주목할 만하다고 봤다.

사물인터넷 허브로서의 관점으로는 기존 통신사 및 보안 관련주 전반(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그리고 전파 필터링 및 사물인터넷 관련주인 이노칩, 와이솔, 엔텔스 등을 눈여겨 볼 만하다고 전했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스마트카 시대 임박…투자자가 선점할 길목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