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여야, 7·30 재보선 재격돌…변수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6·4 지방선거 '무승부', '거물급 출마' 7·30서 승부 가린다

[채송무기자] 여야가 오는 7·30 재보선에서 향후 정국 주도권을 놓고 제2라운드를 벌일 태세다.

세월호 참사로 정부여당에 대한 심판론이 거세게 일었던 지난 6·4 지방선거는 당초 현역 단체장 출신인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이 앞서갔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로 보수층이 결집, 여야간 승부를 내지 못했다.

특히 선거 막판 집권 여당의 '박근혜를 지켜달라'는 호소 덕분에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신승을 거두면서 여여간 어느 정도 힘의 균형이 맞춰진 상황이다.

현재까지 7·30 재보선의 전반적인 구도는 '박근혜 지키기' vs '세월호 심판'이라는 지방선거와 같은 맥락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재보선이 여야가 출범시킨 세월호 국정조사 선거 기간과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여야는 잠정적으로 재보선 이후 국정조사를 하기로 했지만, 관련 기관보고 등을 통해 선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새누리당 역시 7·30 재보선을 '박근혜 평가론'과 연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1년 3개월 만에 사의를 표한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의 서울 동작을 출마설이 실례다.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복심으로 불리는 이정현 전 수석의 동작을 출마가 현실화된다면 곧바로 '박근혜 평가론'과 연계된다. 그러나 패배시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여권 내 논란도 적지 않다.

만약 이 전 수석이 승리한다면 현 정권은 안정된 국정 운영의 동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전 수석은 청와대와 여당 간 연결 고리 역할도 할 수 있어 원할한 당청관계가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변수는 박근혜 대통령의 인적 쇄신과 야권의 공천 논란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 여론은 재난에 무방비였던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해왔다. 그 중에서 정부 관료조직의 쇄신은 핵심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르면 9일 총리 후보자를 지명하면서 새로운 내각과 청와대 비서진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국민의 쇄신 요구에 맞는 내각과 청와대 비서진이 출범해 전면 개혁에 나서면 정권 심판론의 기반은 상실될 수밖에 없다.

야권의 공천 논란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6·4 지방선거에서는 안철수 공동대표의 전략공천이 많은 반발을 불렀다. 광주시장 선거와 경기 안산시장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이 승리했지만, 당을 탈당한 무소속 돌풍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다.

7·30 재보선에서는 자천타천으로 손학규·정동영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등 야권 내 거물들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전면적인 전략공천이 예상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개혁 공천의 대의를 지키면서 당력을 하나로 모으는데 성공한다면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또 다시 공천 갈등에 휩싸인다면 승리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사진 조성우기자 xconfind@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여야, 7·30 재보선 재격돌…변수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