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미래 선도 10대 청정에너지 유망기술 발표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제5차 CEM' 특별세션서 최초 선정

[정기수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5차 클린에너지장관회의(CEM)'에서 회원국들의 의견을 모아 10대 청정에너지 혁신기술이 최초로 선정, 발표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CEM은 "향후 10년 간 에너지시장의 변화를 선도할 유망 기술을 선정한 것"이라며 "IEA(국제에너지기구) 등 국제기구와 주요국 기술 로드맵을 기준으로 해 23개 회원국 회람을 거쳐 최종 확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회원국이 선정한 10대 유망 기술은 ▲초고압 직류송전 ▲에너지저장장치 ▲바이오연료 ▲마이크로그리드 ▲탄소포집 및 저장 ▲초고효율태양광 발전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하이브리드시스템 ▲빅데이터에너지관리시스템 ▲지열 시스템 등이다.

이날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이번에 선정된 10개의 기술은 최근의 기술적․정책적 추세가 잘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했다.

윤 장관은 특히 "중앙집중형 공급원에서 분산형 전원으로의 변화, 에너지 효율향상의 중요성, ICT(정보통신기술)와 융복합 추세 등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커, 현재 수립하고 있는 '제3차 국가에너지기술 개발계획'에 이런 기술적 추세를 반영하겠다"고 피력했다.

이밖에 이날 회원국 청년층 대표들은 모의 CEM에 참가해 클린에너지 사회의 지속을 위한 차세대 리더의 역할, 울릉도 에너지자립섬을 위한 미래 방향 등을 주제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모의 CEM은 클린에너지 미래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정책 입안자에 한정하지 않고 세대와 계층을 넘어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기획됐다. 참석자는 에너지·국제관계를 전공한 대학생과 대학원생으로 CEM 회원국의 추천을 받아 선정됐다.

특히 에너지 자립을 목표로 하는 울릉도에 대해 모의 CEM 각국 대표들은 자국의 상황과 경험을 담은 다양한 정책을 제안했다.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계획은 외부와의 연계 없이 풍력·태양광 등 지역 내 잠재된 신재생에너지원을 최대한 활용해 필요 전력을 생산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을 통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으로 조성하려는 계획이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제공된 울릉도의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한전이 검토중인 기본 개념과 오스트리아·일본 등 유사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CEM은 한국 주도로 시작된 이번 프로그램이 내년 멕시코에서 개최되는 6차 CEM에서도 지속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한편 TV 모니터의 고효율성을 평가하며 시상하는 SEAD(Super-efficient Equipment Appliance Deployment) 어워드에서 삼성전자(3개 부문), LG전자(1개부문) 등 국내기업이 모두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중형(20~23인치)·대형(23인치 이상)·미래기술 부문에서, LG 전자는 소형(15~20인치) 부문에서 각각 수상했다.

윤상직 장관은 "소비효율등급표시, 고효율기기인증 프로그램 등 에너지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한 정책을 꾸준히 진행해온 성과"라며 수상자들을 치하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미래 선도 10대 청정에너지 유망기술 발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