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종합]삼성전자 1분기 실적, 또 폰이 살렸나?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IM 부문에 이익 의존 지속…돌파구 필요

[김현주, 민혜정기자] 삼성전자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1분기 실적을 내며 반등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성장 정체기에 들어선 스마트폰 사업, 계절적 비수기를 맞은 소비자 가전, 경쟁 심화로 타격을 받은 디스플레이 등을 고려할 때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이라는 평가다.

다만 지난해 3분기 기록한 영업익 10조원, 사상 최대 실적은 삼성전자의 새로운 지상과제가 됐다. 여전히 스마트폰 이익 쏠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장기적 성장을 이끌 사업부가 어디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8일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3조원, 영업이익 8조4천억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시장 컨센서스가 매출 54조5천억대, 영업익 8조4천억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매출은 다소 낮았지만 영업익은 예상치에 부합한 것이다.

1분기 실적은 전기 대비 매출은 10.59% 줄었지만 영업익은 1.08% 늘어난 것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0.25% 오르고 영업익은 4.33% 감소했다.

이번에 삼성전자는 분기 영업익이 8조원 중반 대를 유지하면서 수익성 대폭 악화에 대한 우려는 잠재웠다. 하지만 '이익 확대기'보다는 성장세가 꺽인 채로 '이익 방어기'에 들어섰다는 분석에 힘을 실어줬다.

◆이번에도 '스마트폰'이 살렸나?

시장 기대치에 부합한 영업익을 기록한 것은 환율 안정, 지난 4분기 집행된 특별 보너스 등 일회성 비용 제거가 큰 요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업 부문별로는 양호한 스마트폰 판매가 이번 실적을 견인했던 것으로 분석되는 게 눈길을 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에서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이 6조원에 가까운 영업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익 중 70%가 IM에서 나와 쏠림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

하이투자증권 송명섭 연구원은 "IM부문이 예상보다 나쁘지 않아 6조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이라 예상된다" "반도체도 2조원대, 소비자가전도 예년에 비해 나쁘지 않은 실적을 기록했을 것으로 보는데, 다만 디스플레이쪽은 부진했던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도현우 연구원은 "시장 예상치에 들어맞는 실적이 나왔다"며 "특히 IM부문이 시장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선방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평가했다.

신한금융투자증권 소현철 연구원은 IM부문만 5조5천억의 영업익을 올렸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다만 당분간 IM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되면서 장기적 수익성을 담보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것은 당면한 과제다.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할 사업분야가 어디일지 관심이 모이는 것.

또한 IM부문과 함께 DS(디바이스솔루션) 분야 중 메모리 반도체는 메모리 시장 호황에 따라 실적 성장을 견인했을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이 2조원대 영업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메모리사업부장(사장)은 지난 3일 1분기 실적 전망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실적이 좋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다만 세계 모바일 AP 시장에서 삼성의 AP 점유율은 5% 안팎에 그치고 있어 시스템LSI의 실적이 감소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사업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AMOLED부문을 중심으로 실적 악화가 지속되면서 전분기(1천100억원) 대비 성장하지 못한 1천100억~1천200억의 영업익을 달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계절적 비수기를 맞은 소비자가전(CE) 등 부문은 영업익이 3천500억원 수준으로 예년보다는 개선된 수준으로 전망된다.

김현주기자 hannie@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종합]삼성전자 1분기 실적, 또 폰이 살렸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