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산업부, 반도체·디스플레이 R&D 2천30억원 투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산업 취약점 진단,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등 핵심과제 집중"

[김현주기자] 정부가 세계 1위 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 올해 총 2천30억원을 투자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경기도 판교에서 개최된 '2014년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 설명회'에서 올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에 지난해 대비 소폭(4%↑) 증가한 2천3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지난해에 비해 신규사업을 대폭(117%) 늘려 반도체·디스플레이 중소·중견기업 및 학계의 수요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취약점들을 진단하고 시스템반도체 국산화 등 7대 핵심과제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소재 분야의 낮은 경쟁력을 조속히 끌어올리기 위해 장비·소재를 제조하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집중 지원(682억원, 전체 34%)한다.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반도체·디스플레이 대기업보다는 중소·중견기업 및 대학·연구소 중심의 산업 생태계 강화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단순 하드웨어 개발에서 탈피해 소프트웨어(SW)와 시스템반도체(SoC)를 적극적으로 접목해 중소기업의 제품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융합기술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키로 하였다.

한편 산업부는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사상 최초로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달성했으나, 메모리 위주의 불균형 성장과 장비·소재 분야의 취약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성장 정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소자, 차세대 공정 등 미래 반도체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그간 정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국내 대학·연구소의 반도체 원천연구 및 인력양성 기능이 크게 약화돼왔다고 지단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11년째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패널의 경우,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 하락, 중화권 기업들의 추격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확보 등을 통해 경쟁국과 기술 격차를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산업부 김정일 전자부품과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이 新시장 개척의 부진, 고질적인 장비·소재 분야의 취약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중국 등 경쟁국의 추격이 거세질 우려가 있다"라며 "우리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의 취약점을 조속히 보강하여 글로벌 1위 수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연구개발 사업의 공고 내용, 응모 방법, 향후 일정 등 세부 사항은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현주기자 hannie@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산업부, 반도체·디스플레이 R&D 2천30억원 투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