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종합]작년 수출·무역흑자 '사상최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3년연속 무역 1조弗 돌파…'트리플 크라운' 달성

[정기수기자] 우리나라가 지난해 사상 최대의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또 3년 연속 무역규모 1조달러를 돌파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지난해 수출은 5천597억2천300만달러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5천155억2천900만달러로 0.8%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441억9천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과 무역흑자는 각각 종전 사상 최대치인 2011년 5천552억1천300만달러, 2010년 411억7천100만달러 기록을 새로 경신했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무역규모는 1조752억5천200만달러로 3년 연속 1조달러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3년 연속 '트리플 크라운(무역 1조달러·사상 최대 수출 및 무역흑자)'을 달성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글로벌 교역둔화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우리 무역은 비교적 선전했다"며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보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증가율이 높고, 수출품목도 다변화되는 등 수출구조도 건실화됐다"고 평가했다.

수출의 경우 중국·미국 등 주력시장으로의 수출확대 및 무선통신기기·반도체 등 IT제품의 선전으로 2.2% 증가했다.

지역별 수출증가율은 중국이 8.6%로 가장 높았고 미국(6.0%), 동남아시아(3.6%)가 뒤를 이었다. 일본(-10.6%)과 EU(-1.0%) 지역에 대한 수출은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반도체·가전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하반기 이후 선박은 고부가가치 선박인도로, 자동차는 글로벌 수요확대로 수출이 개선됐다.

품목별 수출증가율은 무선통신기기(21.2%), 가전(16.8%), 반도체(13.3%), 석유화학(5.5%), 자동차(3.1%)는 늘었고 일반기계(-3.3%), 석유제품(-5.9%), 선박(-6.3%), LCD(-7.6%), 철강(-11.9%)은 줄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는 모바일 기기 수요확대에 따른 메모리 및 낸드 단가 상승 등에 힘입어 전체 수출금액에서 10.2%를 차지하며 석유제품(9.4%)을 제치고 3년 만에 수출 1위 품목에 등극했다"며 "반면 철강 수출은 글로벌 공급과잉으로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지난해 2분기 이후 LCD 및 석유제품의 수출도 단가하락 등으로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수입은 자본재 및 소비재 수입은 증가했으나, 유가 하락 등으로 인한 원자재 수입 감소로 총 수입이 0.8% 감소했다.

원자재는 가스(발전용 수요증가)·석유제품(나프타 수요확대)의 수입은 증가한 반면, 원유(유가하락)·철강(단가하락)·석탄 등의 수입은 감소했다. 자본재의 경우 반도체제조용장비(-36.1%)·LCD(-10.7%) 수입은 줄었으나, 원동기부품(68.0%)·운반하역기계(45.3%) 등 기계류 수입은 늘어났다. 소비재는 자동차·코트 및 자켓(35.0%)·소고기(9.2%) 등은 증가했으나, 돼지고기(-24.8%)·커피(-13.3%) 등의 수입은 감소했다.

◆12월 수출액 480억弗…선박·철강·자동차↑

지난달 수출액은 480억5천400만달러로 전년동월 대비 7.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443억7천700만달러로 3.0%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36억7천700만달러 흑자로 지난 2012년 2월부터 2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달 수출 증가는 세계경기 회복추세 와 조업일수 증가(1.5일) 등에 따른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품목별로는 선박·반도체·자동차 등이 수출 확대를 견인했다. 다만 석유제품·LCD 수출은 부진했다. 품목별 수출증가율은 선박(50.3%), 반도체(20.0%), 자동차(13.2%), 석유화학(7.5%), 일반기계(3.1%) 등이 늘었고 철강(-0.1%), 무선통신기기(-3.1%), LCD(-16.9%), 석유제품(-21.0%) 등은 줄었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EU(유럽연합) 등으로의 수출이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재 수출 확대로 각각 13.2%, 2.0% 증가했다. 중국으로의 수출도 8.4% 늘어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일본(-11.6%)은 엔저로 수출 감소세가 지속됐으며, 아세안(-11.9%)은 일부 국가의 성장 둔화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수입도 소폭 증가했다. 5대 품목 중 석유제품(21.7%), 철강(16.5%), 석탄(3.4%)의 수입은 늘었고 가스(-.7.7%), 원유(-10.1%)는 줄었다. 용도별로는 원자재(11.7%)·자본재(8.4%)·소비재(8.6%) 수입이 모두 증가했다.

정기수기자 guyer73@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종합]작년 수출·무역흑자 '사상최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