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盧 기록관리비서관 "모든 자료 100% 이관했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록물 전체 훼손하지 않고는 파기도 불가능, 못 찾거나 고의 회피 아닌가?"

[채송무기자] 국회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원본의 예비 열람을 위해 두 차례 국가기록원을 방문했음에도 대화록 원본을 찾지 못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을 지낸 김정호 전 청와대 비서관이 "참여정부에서는 100% 자료를 보냈다"고 확인했다.

김 전 비서관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관련 자료물을) 100% 이관했다"면서 "청와대 모든 문서 전송과 보존을 했던 '이지원 시스템'에 탑재됐던 824만건의 모든 기록물이 통째로 이관됐고, 혹시나 싶어 외장 하드에 담아 기록물만 별도로 보냈다. 이중, 삼중으로 백업이 될 수 있도록 보냈다"고 말했다.

김 전 비서관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만 이후 빠졌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했다.

그는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이 안보실에서 다 보고했고, 그 과정의 기록들이 보존되게 돼 있다"며 "결재를 하게 되면 기록물들은 다 그대로 컴퓨터에 저장이 돼서 중간에 조작을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와 함께 김 전 비서관은 "대통령이 서명을 한 이상 그대로 보존되게 돼 있다"면서 "못 찾고 있거나, 고의로 회피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음모설도 제기했다.

김 전 비서관은 "정치적으로 진위가 가려지게 되면 불리한 측에서 기술적인 문제로 없는 것이 아니냐는 식으로 호도할 수 있다"면서 "(자료를)누군가가 찾아줘야 하는데 진위를 가릴 수 있는 검증 자체를 회피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김 전 비서관은 차후 파기 가능성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보낸 기록물 전체를 다 훼손하지 않은 다음에야 불가능하다"면서 "정치적 쟁점이 되는 중요한 부분만 훼손했을 개연성은 있으나 이것도 전자 기록이기 때문에 흔적이 남아 수사를 하게 된다면 훼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盧 기록관리비서관 "모든 자료 100% 이관했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