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국정원發 대화록 진위 논란 '일파만파'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김만복 "2008년 1월 대화록, 작성 지시한 적 없다"

[채송무기자] 국정원이 공개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과 관련된 의혹이 불거지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국정원이 2008년 1월 만든 것이라고 공개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해 김만복(사진) 전 국가정보원장이 국민일보에 "2007년 10월 대화록 작성을 지시해 만들었으며 국정원이 공개한 2008년 1월 대화록은 작성을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원장은 또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 회담 대화록을 작성한 것은 2007년 10월로 청와대에 1부를 보고하고 국정원이 1부를 보관했다. 이 2부만 빼고 나머지는 전부 파기할 것을 지시했다"며 "내가 재임할 때인 2008년 1월에 나는 대화록을 작성한 사실조차 몰랐고, 보고받은 적도 없다"고 했다.

김 전 원장의 말이 사실이라면 국정원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남북 정상회담 기록물을 불법적으로 생산했다는 것이다.

국정원 대변인은 "김 전 원장이 2007년 10월에 지시해 제작에 착수했고 2008년 1월에 완성했다"며 "완성 후 김 전 원장에게 보고했으며 그가 결재한 물적 증거가 있다. 녹취 테이프를 러프하게 풀어 만든 중간본을 청와대에 전달했고, 국정원이 계속 보완해 완성된 대화록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지만 이번에는 민주당이 나섰다.

정상회담 당시 통일부에 근무했던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변인이 5일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국정원이 그렇다면 대통령에게는 대충 만들어 보내고 자기들은 제대로 하나 만들어서 자기들만 가지고 있었다는 말"이라며 "이는 훨씬 심각한 국기 문란"이라고 반격했다.

홍 원내대변인은 "모든 비밀 문서는 각 페이지마다 도장이 찍혀 있다"며 "그런데 국정원이 공개한 정상회담 전문에는 어떤 비문 등재도 찍혀 있지 않다. 문서 자체가 해적물이 아닌가 할 정도로 정부의 문서 관리 절차나 형식에 맞지 않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2008년 1월에 작성된 문서는 작성 주체가 누군지, 비문 관리 연한이나 도장도 안 찍혀 있다"며 "2008년 1월 문서의 작성 주체와 내용에 대해서는 수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정원發 대화록 진위 논란 '일파만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