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정운찬 위원장 "동반성장, 유통·서비스업으로 확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자간담회 갖고 1년간 성과와 향후 계획 내놔…대선 출마 '직답' 피해

[정수남기자] "동반성장은 우리 사회에 만연된 양극화 해결을 의미합니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16일 서울 시청 인근 한식당에서 가진 출입기자 오찬 간담회에서 "동반성장위원회의 지난 1년 간 실적과 앞으로 추진하는 사업 등을 소개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 위원장은 "지난 2010년 12월13일 동반성장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중기적합 업종 82개 품목 선정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가이드라인 재정 ▲기술임치제도 도입 ▲창조적동반성장(초과이익공유제) 도입 등 굵직한 일들을 해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동반성장 문화가 국내에 확산은 됐으나 궁극적으로 동반성장이 대중소기업 간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제품을 만들고 세계 시장 공동진출이 목표인 만큼 아직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해외 석학들도 동반성장의 해법을 대중소기업의 기술공동 개발과 해외진출을 꼽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리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동반성장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지난 1년 간 동반성장위원회는 제조기업을 대상으로만 동반성장을 추진했으나, 앞으로는 유통과 서비스업으로 이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기업의 동반성장지수 평가 시 ▲교육기관 지원 ▲지역인재 채용 ▲인턴 채용 후 정규직 전환 ▲장애인·재활대상자 고용 시 가산점 부여 등을 도입하기 위해 위원회는 현재 관계부처와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르면 올 하반기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정 위원장은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지난 1년간 진통 끝에 도입한 창조적 동반성장안은 '가뭄에 단비' 같은 존재고, 이달초 이 안건이 위원회에서 가결된 것은 큰 성과"라며 "당초 대기업의 자율 도입을 원칙으로 했듯이 앞으로도 동반성장을 자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위원회가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성장委 예산 관련, "위원회 예산이 49억에 불과해 앞으로도 확대 여지가 많다"면서 "관계 부처에 예산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동반성장委는 오는 4월 총선 이후 56개 대기업의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할 예정이며, 발표방식 등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정 위원장은 설명했다.

한편, 이날 정 위원장은 오는 12월 대선 출마와 관련 "공천 신청도 하지 않았고, 정치권에서 불러주는 곳도 없다"며 직답을 피했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운찬 위원장 "동반성장, 유통·서비스업으로 확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