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주파수경매 하루새 466억 뛰어'···12라운드로 넘어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8일 경매 이어가기로, 2.1기가는 LG유플러스 낙찰

[강호성, 강은성기자] 국내 최초로 실시된 1.8기가(㎓) 주파수 경매는 시작가격에서 466억원이 오른 채 주인을 찾지 못했다. 2.1기가 주파수 대역은 4천455억원에 단독으로 입찰한 LG유플러스가 차지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17일 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실시한 주파수 경매에서 1.8기가와 800메가(㎒) 주파수 대역의 낙찰자를 찾지 못한 채 18일 경매를 이어가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에서 나온 입찰 대리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시작된 경매는 오후 5시가 넘어서까지 진행됐다.

경매에서 가장 치열한 눈치작전이 예상된 것은 1.8기가와 800메가 대역. 특히 4세대 LTE 주파수 대역인 1.8㎓에 KT와 SK텔레콤이 치열한 작전을 펼쳤다.

방송통신위는 이날 총 11라운드까지 진행된 결과 최고가 입찰가는 4천921억원이며, 800메가 대역은 입찰 참여가 없었다고 밝혔다.

◆어떤 식으로 진행?

방통위는 최고가 입찰자가 생길때까지 계속 라운드를 진행하는 '동시오름입찰' 방식으로 경매를 실시했다. 1라운드에서 두 사업자가 주파수에 배팅한 결과 각각 800㎒와 1.8㎓ 대역으로 나뉜다면 경매는 거기서 끝이 난다. 하지만 한쪽 주파수에 몰린다면 경매가를 올리면서 실시되는 것.

이날 KT와 SK텔레콤은 1라운드에서 모두 1.8㎓ 대역을 신청, 1.8기가를 중심에 놓고 경매가 진행됐다. 1.8기가에 높게 적어낸 회사가 잠정 낙찰자가 되고, 다른 회사는 다음 라운드에서 더 높은 가격을 적어내거나 다른 주파수인 800메가 대역에 신청하면, 경매가 끝나기 때문.

양 측 모두 1.8기가에 입찰가를 높이고 있다는 것은 이 대역을 원하기 때문. 따라서 이날 경매를 중단할때까지 800메가는 입찰참여가 없었다. 1.8기가는 4세대 서비스인 LTE 주력 대역이 될 가능성이 높아 최근들어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800메가 역시 좋은 주파수이긴 하지만 1.8기가를 양 측 모두 더 선호하는 셈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오늘 11 라운드동안 매회 1%(45억원 규모)씩 입찰가가 높아져 466억원이 상승한 결과가 나왔다"며 "이에 따라 18일 오전 9시부터 같은 장소에서 계속 경매를 실시한다"고 말했다.

2.1㎓대역에 단독 신청한 LG유플러스는 최저가(4천455억원)에 20㎒폭을 확보했다. SK텔레콤이 1.8기가를, KT가 800메가를 확보하게 된다면 3사 모두 같은(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보유하게 된다.

◆과열경쟁 '승자의 저주' 우려?

최초로 실시되는 이번 주파수 경매가 상한선 없는 다중오름방식으로 진행되자 자칫 과열경쟁 양상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주파수라는 것은 통신 사업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재이기 때문에 특정 대역의 주파수에 경쟁이 집중될 경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전문가는 "주파수가 없으면 서비스 자체를 못한다는 점에서 낙찰가가 1조원이 된다고 하더라도 '승자의 저주'라는 식으로 이해할 필요가 없다"면서 "특히 SK텔레콤과 KT의 경우 신규 할당을 받는다고 해도 주파수 대역에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높은 낙찰가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는 사업자들이 합리적인 선에서 입찰가를 조절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의견이 많다.

통신사 관계자는 "어느 정도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겠지만, 결국 회사의 전략과 주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주파수 선택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호성기자 chaosing@inews24.com 강은성기자 esther@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주파수경매 하루새 466억 뛰어'···12라운드로 넘어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