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Special Report] 국내 스마트폰 시장 3파전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애플·삼성·모토로라 경쟁 포문 열다

애플·삼성·모토로라 경쟁 포문 열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화 되고 있다. 불모지로 여겨지던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작년 11월 엄청난 관심 속에서 진행된 애플 아이폰의 출시와 함께 광풍처럼 시작됐다. 여기에 삼성전자가 아이폰 대항마로 옴니아 패밀리(티옴니아2, 쇼옴니아, 오즈옴니아)를 내세우면서 아이폰과 옴니아 간의 시장 경쟁이 뜨겁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시장에서 인기 구글폰으로 검증을 받은 모토로라의 모토로이까지 가세하면서 마침내 스마트폰 삼국지 시대가 국내에서 본격화 되고 있다. 단말기 업계의 삼파전은 플랫폼 측면에서도 삼파전 양상을 띄고 있어 플랫폼 업계의 대리전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스마트폰 시장 개척자, ‘아이폰’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는 대부분 애플 아이폰에 빚을 졌다. 애플 아이폰은 스마트폰 불모지인 국내 휴대전화시장에 묘목으로 심어져 단기간 내 튼튼한 나무로 자라나 숲을 만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태동할 수 없었던 이유는 굳이 따로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대부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업계의 무관심이나 진입장벽 만들기를 따로 언급할 필요도 없다. 다만, 글로벌 선두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업체들이 우물안 개구리마냥 기존 수입기반에 안주하며 스마트폰 시장 육성에 게을리 한 점은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뒤늦게나마 아이폰과 옴니아로 경쟁구도를 형성하면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점은 매우 반가운 일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 이용자에게 새로운 충격을 주고 있다. 스마트폰은 음성통화와 문자 전송,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약간의 게임 기능이 휴대전화의 모든 기능으로 알고 있던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줬다. 휴대전화를 PC처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한 휴대전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러한 멋진 기기를 대중화 시킨 애플 아이폰을 어찌 고마워하지 않을 수 있을까!

스마트폰 시장 삼파전

아이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은 이 정도로 접고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미래에 대해 주목해 보자.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단말기 업체로 보나 플랫폼 업체로 보나 삼파전 양상을 띠고 있다.

단말기 중심으로 보면, 애플과 삼성전자, 모토로라로 시장 구도가 형성되고 있으며, 플랫폼 중심으로는 아이폰과 윈도모바일, 안드로이드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애플은 막강한 사용자 편의성과 입소문을 무기로 단기간 내 20만 명의 아이폰 사용자 기반을 다지며 국내에서도 그 인기를 실감하게 했다.

삼성전자의 반격도 매섭게 전개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친숙한 윈도 환경을 장점으로 한 옴니아 패밀리를 내세워 스마트폰 시장을 빠르게 잠식해가고 있다. 아니 새롭게 열어가고 있다. 특히, 애플이 KT만을 통해 아이폰을 공급하고 있는 것과 달리 삼성전자는 국내 3개 이동통신사를 통해 옴니아 패밀리 휴대전화를 공급하고 있어 애플보다 더 빠르게 스마트폰 고객을 창출해가고 있다.

모토로라의 야심작 모토로이도 2월 중순부터 공급이 시작돼 3월부터는 판매에 탄력이 붙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토로이는 옴니아폰이 갖지 못한 구글 생태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휴대전화 이용자들로부터 좋은 점수를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통사, 스마트폰 시장 육성에 적극 나서

이동통신사도 스마트폰 시장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음성 통화 수익모델이 성장 한계에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모바일 데이터 수입 모델만이 유일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동통신사들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오래 전부터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원인은 기존 일반 휴대전화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촉진시키려 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프로세서와 혁신적인 디자인을 접목한 일반폰이라도 결국 쓰임새는 음성통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시장이 아이폰 출현 이후 조성되면서 이제야 그 가능성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동통신사들의 스마트폰 도입도 본격화 되고 있다. KT는 아이폰 이외에 쇼옴니아를 공급하고 있다. 반면 아이폰의 성공으로 스마트폰 시장에서 KT에게 한 수 밀린 SK텔레콤은 티옴니아2와 모토로이를 연이어 출시하며 초반에 빼앗긴 가입자 회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 LG텔레콤은 최근 회사통합 작업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회사 역량을 투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소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글ㅣ안희권 기자 argo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Special Report] 국내 스마트폰 시장 3파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