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뉴스분석]구글폰 등장으로 모바일 시장 판도 변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글이 내년부터 휴대폰 단말기를 직접 판매한다. 외신에 따르면, 구글이 내년부터 자사 브랜드를 장착한 '넥서스 원(Nexus One)'이란 단말기를 직접 판매할 예정이다.

넥서스 원은 안드로이드폰과 달리 구글이 단말기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직접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구글은 그 동안의 이동통신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넥서스 원 판매에 나설 것으로 보여 파장이 예상된다.

넥서스 원 출시는 휴대폰 사용자를 직접 공략해 다양한 자사 모바일용 소프트웨어의 연결 통로를 확보하려는 구글 서비스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용 휴대폰, 일명 구글폰을 개발자용(Dev phone)과 이동통신사용(현재, 공급중인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으로 공급하고 있다. 구글은 플랫폼과 일부 프로그램만 지원할 뿐, 제작은 휴대폰 제조사들이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이 휴대폰들은 단말기 업체나 이동통신사의 이해 관계에 따라 기능이 제한돼 출시되고 있다.

구글이 원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보급에는 차질을 빚고 있다. 구글은 이러한 문제를 구글폰의 직접 설계와 판매로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출현 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서비스를 주도하는 업체가 향후 모바일 광고 및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애플은 자사의 입맛에 맞게 아이폰과 앱스토어를 재단해 관련 서비스를 주도하고 있어 모바일 업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 중이다. 반면, 구글은 플랫폼만 주도하고 있어 모바일 시장 장악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구글폰의 직접 제작과 판매로 정면돌파에 나설 경우 이러한 문제가 일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애플과 달리 휴대폰 단말기 시장이나 플랫폼 시장 장악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한 시도는 강력한 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글의 최종 목표는 자사의 다양한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모바일에 접목해 온라인의 영향력을 모바일로 그대로 전이시키는 것이다. 구글은 구글폰으로 모바일 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구글 모바일 클라우드를 구현하는 전략을 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글의 이번 전략으로 이동통신사 중심의 모바일 시장 구도에 변화가 예상된다. 애플과 구글이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를 무기로 삼아 휴대폰 단말기 시장과 함께 서비스 시장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희권기자 argo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뉴스분석]구글폰 등장으로 모바일 시장 판도 변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