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한경협 "올해 수출 플러스 전환 전망…수출 정책 지원 확대 필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024년 수출전망 조사'…'수출 증가‧비슷' 전망 73.3%

[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올해 국내 기업들의 전체 수출 규모는 전년도 부진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의 동반 불황,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철강, 석유화학 등의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부산 남구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한국경제인협회가 1일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업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2024년 수출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수출이 전년에 비해 증가·비슷(73.3%)할 것이라는 응답이 감소(26.7%)할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수출이 지난해 대비 증가·비슷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0%이상~5%미만이 41.3%로 가장 높다. 이어 5%~10%(15.3%), 10%~15%(7.3%), 15%~20%(4.7%), 20% 이상(4.7%)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5%~0%가 15.3%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5%(5.3%) ,-15%~-10%(4.7%), -20%~-15%(0.7%), -20% 미만 0.7%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이 꼽은 주요 이유는 수출대상국의 수요개선(39.1%),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변화 효과(20.9%)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높은 원자재가격 지속으로 수출경쟁력 약화(40.0%), 미․중 등 주요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37.5%) 등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올해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부품(5.8%) △바이오·헬스(5.0%) △전기·전자(4.2%) △자동차(3.9%) △일반기계(3.5%)순으로 나타나 자동차부품의 수출이 가장 약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올해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업종은 철강(-0.7%),석유제품(-0.6%), 석유화학(-0.2%)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철강,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주력산업으로, 관련 업종 수출 부진시 국내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초래될 수 있다"며 "아울러 중국 중심의 공급과잉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세계경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국내산업의 구조조정과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 마련과 첨단기술산업 중심의 수출 동력 확보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2024년 수출전망 조사' 수출 증가·감소 전망 이유 응답 내용.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의 '2024년 수출전망 조사' 수출 증가·감소 전망 이유 응답 내용. [사진=한국경제인협회]

올해 국내 대기업의 수출 채산성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수출 채산성이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보다 채산성이 개선(17.3%)될 것이라는 응답과 악화(16.6%)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선박(25.0%) △바이오·헬스(24.0%) △전기·전자(20.7%) 순이었다.

기업들은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입관세 인하 또는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2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법인세 감세 및 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강화(24.6%) △환율 안정(19.1%) △통상영역 확대를 통한 해외 신수요 창출(12.0%)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자국중심주의 확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통상환경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므로, 기업의 통상리스크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은 올해 가장 우려되는 수출 리스크로 '세계 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 감소'(42.0%)라고 답했다. 또 △원부자재 가격 상승(20.7%) △러·우, 이·팔 전쟁 장기화(11.3%) △미·중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불안정성(10.7%)을 수출 환경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수출은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 IT 업황이 회복되면서 전년에 비해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 경제의 회복 지연,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 하방 요인도 상존한다"며 "최근 수출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원자재 수입 지원과 투자 세제지원 등을 통해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제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종성 기자(stare@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경협 "올해 수출 플러스 전환 전망…수출 정책 지원 확대 필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