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효성첨단소재, 5년만의 성과…우주·항공 소재 국산화 '성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초고강도 탄소섬유 'H3065(T-1000급)' 개발

[아이뉴스24 양호연 기자] 효성첨단소재가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로 우주∙항공 소재 국산화에 한걸음 다가섰다.

효성첨단소재는 12일 인장강도 6.4㎬, 탄성율 295㎬ 이상 수준의 'H3065(T-1000급)'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개발된 초고강도 탄소섬유는 2017년 8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가 투자해 추진하는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부처연계협력기술개발사업으로 시작해 5년만에 거둔 성과다.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 전경 [사진=효성첨단소재]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 전경 [사진=효성첨단소재]

효성첨단소재가 주력 생산한 'H2550(인장강도 5.5㎬, 탄성율 250㎬, T-700급)' 탄소섬유는 강도가 철보다 10배 이상 높아 주로 ▲수소연료탱크 ▲전선심재 ▲태양광 단열재 ▲스포츠 등의 용도로 사용됐다. 이와 비교해 이번에 개발된 'H3065' 탄소섬유는 강도가 철보다 14배 이상 높은 초고강도 특수 탄소섬유로, 동급 T-1000 탄소섬유는 보잉 등의 최신 항공기 동체 및 부품,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발사체 등 우주항공 및 방위 산업에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초고강도 탄소섬유는 우주 산업 분야에서 우주발사체와 위성체 등의 개발에 필수적인 소재로 꼽힌다. 발사체의 알루미늄 등 기존 소재와 비교해 훨씬 가벼우면서도 높은 탄성과 강도를 지녀 발사체 무게를 덜고 추진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방산 분야에선 탄소섬유 적용 시 발사체 경량화가 극대화하며 속도 및 사거리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우리나라도 일본, 미국에 이어 초고강도 탄소섬유 생산이 가능한 탄소소재 선진국에 오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초고성능 탄소섬유 소재의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으로 국내 탄소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말했다.

방윤혁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원장은 "수입에 의존하던 우주∙항공∙방산∙미래 모빌리티 분야 탄소섬유 소재의 국산화가 기대되고 있다"며 "국내 우주산업 성장의 기초가 되는 재료 공급망을 확보함과 동시에 핵심기술 보유를 통해 과학기술 초강국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라고 말했다.

/양호연 기자(hy@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효성첨단소재, 5년만의 성과…우주·항공 소재 국산화 '성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