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 진출 韓 기업도 '불안'…현대차, 18개로 '최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각 9곳 운영 중인 삼성·롯데, 현대차 다음으로 多…장기전 시 경제적 손실 불가피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본격화 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진출 기업뿐 아니라 러시아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들도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을 이유로 러시아에 대한 수출통제 제재까지 발표하면서 러시아에 있는 국내 기업들도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72개 그룹이 러시아에 세운 해외법인 현황'을 조사한 결과, 16개 그룹에서 총 53곳을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은 12곳 정도로, 이들은 사업을 일시 중단하거나 철수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러시아공장을 살펴보고 있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사진=현대차]
현대차 러시아공장을 살펴보고 있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사진=현대차]

러시아에 설립된 해외계열사 중에서는 현대차그룹이 18곳(34%)으로 가장 많았다. 러시아에 배치한 해외계열사 3곳 중 1곳은 현대차그룹이었다. 이는 현대차가 러시아에 많은 공을 들여놓고 있었다는 방증이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계열사인 현대차를 필두로 기아, 현대제철, 현대건설, 현대글로비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위아, 이노션, 현대머티리얼 등을 통해 러시아 법인을 탄생시켰다. 사업 분야도 완성차 제조 및 부품 판매업을 비롯해 소프트웨어개발, 자동차 A/S 부품 판매, 해외스틸서비스센터, 건설업, 운송서비스업, 광고대행업, 금속및비금속 원료재생업, 경영 컨설팅 등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현대차는 'HMMR(Hyundai Motor Manufacturing Rus LLC)'과 'HTBR(Hyundai Truck And Bus Rus LLC)' 법인을 직접 지배 중이다. 현대제철은 'Hyundai Steel Rus LLC' 법인을, 현대건설은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RUS' 계열사를 세워 사업을 영위해가고 있는 중이다.

삼성과 롯데그룹은 현대차의 절반 수준인 각 9개 법인을 러시아에 설립했다. 삼성은 삼성전자를 통해 전자제품 판매 등의 사업의 목적으로 'Samsung Electronics Rus Company LLC'와 'Samsung Electronics Rus Kaluga LLC' 회사를 배치했다. 이 외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SDS, 제일기획 등도 러시아에 계열사를 둔 최대주주들이다.

롯데는 호텔롯데를 통해 숙박시설업을 위한 러시아 법인을 만들었다. 롯데상사, 롯데제과, 롯데쇼핑 등도 진작부터 러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었다. 이 중 롯데상사는 소(牛) 사육업을 위해 'Lotte International Khorol LLC' 법인을, 작물 재배업을 위해 'LOTTE INTERNATIONAL MIKHAILOVKA' 계열사를 러시아에서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SK, CJ, 두산, KT&G 그룹은 각각 2개 법인을 러시아에 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SK는 석유제품 판매 등을 위해 국내 회사 SK루브리컨츠(주)가 'SK Lubricants Rus Limited Liability Company'라는 러시아 법인으로 사업을 영위 중이다.

CJ는 식료품 제조 목적으로 'CJ RAVIOLLO RUS' 법인을 러시아에 세웠다. CJ제일제당이 최대주주다. 두산은 두산건설을 통해 'Doosa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법인을, KT&G는 담배제조 및 판매 사업을 위해 'KT&G Rus L.L.C.' 계열사를 둔 것으로 조사됐다.

[표=CXO연구소]
[표=CXO연구소]

6개 그룹은 각 1개 법인을 세워 러시아 시장을 공략 중이다. LG, 포스코, DL, 효성, SM, 한국타이어, 아모레퍼시픽, 하이트진로, 장금상선 그룹이 여기에 포함됐다.

LG는 LG전자를 통해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를 위해 'LG Electronics RUS, LLC'를, 포스코는 철강 사업을 위해 'POSCO RU Limited Liability Company'라는 계열사를 세웠다. DL은 디엘이앤씨(주)를 통해 'Daelim RUS LLC.'라는 법인을, 효성은 ㈜효성을 통해 'Hyosung RUS.'라는 회사를 세워 종합무역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삼라마이다스(SM)도 국내 건설사 삼환기업(주)을 최대주주로 러시아에 'Samwhan LLC'라는 건설사가 활약 중이다. 이 외 한국타이어(Hankook Tire Rus LLC),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Russia LLC), 장금상선(SINOKOR RUS,.LLC) 그룹에서도 러시아 법인을 따로 뒀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러시아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 해외법인의 경우 향후 미국과 동맹국, 유럽 등이 러시아를 대상으로 고강도 금융 및 경제 제재 등이 본격 진행되면 공장 가동 중단 등 직접적 경제 타격을 볼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특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장기전으로 접어들 경우 석유와 천연가스 등의 수급이 불안정해져 국내 기업들도 여러 산업분야 등에서 경제적 손실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 진출 韓 기업도 '불안'…현대차, 18개로 '최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