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SKT 'AI 통합 패키지' ITU-T 표준과제 승인…"글로벌 스탠다드 선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AI 반도체~서비스 개발 전과정 패키지화해 표준화하는 청사진 제시

[아이뉴스24 심지혜 기자] SK텔레콤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에 제출한 'AI통합 패키지(AI 풀스택·AI Full stack)' 표준화안이 신규 과제로 승인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SG(Study Group) 11에서 SK텔레콤이 제안한 AI 통합 패키지 ‘AI 풀스택의 구조와 연동 방식’이 신규 표준화 추진 과제로 채택됐다. 사진은 ITU-T 화상 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SKT 이종민 T3K 이노베이션 담당. [사진=SKT]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SG(Study Group) 11에서 SK텔레콤이 제안한 AI 통합 패키지 ‘AI 풀스택의 구조와 연동 방식’이 신규 표준화 추진 과제로 채택됐다. 사진은 ITU-T 화상 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SKT 이종민 T3K 이노베이션 담당. [사진=SKT]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ITU-T SG(Study Group) 11에서 자사가 제안한 AI 통합 패키지인 'AI 풀스택의 구조와 연동 방식'이 신규 표준화 추진 과제로 채택됐다고 12일 발표했다.

ITU-T는 국제연합(UN) 산하 정보통신기술 국제기구인 ITU의 표준화 부문으로 현재 190여 회원국의 900여개 산업·학계·연구기관 소속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표준화안에서 'AI 풀스택'의 각 구성요소를 ▲AI 프로세서 ▲AI 데이터베이스 ▲AI 모델링 ▲AI 응용과 API 등 4개 주요 모듈로 분류·정의하고, 각 요소간 연동을 위한 청사진을 제안했다.

앞으로 SK텔레콤은 회원사들과 함께 통합 패키지의 최적화를 위한 아키텍쳐(구조)와 신호 방식, 연동을 위한 데이터 종류 등을 표준화하게 된다.

지금까지 AI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세부 기술별 표준화는 있었지만, 각각의 기술요소를 연결하는 하나의 패키지가 표준화되는 것은 처음이다.

‘AI풀스택’ 표준화 채택은 SK텔레콤이 AI 전 과정을 연구하며 R&D 역량을 축적하고 요소기술을 개발한 결과다. AI전문 반도체 ‘사피온’부터 AI 자동 모델링 툴 ‘메타러너’, AI 연산 데이터 저장 및 관리시스템 ‘라이트닝 DB’와 ‘메타비전’, 아울러 AI서비스인 ‘AI 카메라’ 등 AI 전과정을 연구해왔다

AI 풀스택 구성 및 SKT AI 상품∙솔루션
AI 풀스택 구성 및 SKT AI 상품∙솔루션

AI서비스 개발 과정에 대한 글로벌 표준이 만들어지면, AI 글로벌 스탠다드를 선점하는 효과는 물론 개발사가 다르더라도 구성 요소 간 연동이 가능해져 다양한 조합으로 AI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I가 관제 인프라와 결합해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하거나, AI 기반의 의료영상진단 보조솔루션이 도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번 'AI 풀스택' 표준화를 이끌고 있는 ITU-T SG11 Q7 의장 SK텔레콤 이종민 T3K이노베이션 담당은 "는 국내외 AI 생태계의 활성화와 개인 개발자에서부터 중소 상공인, 대기업을 아우르는 저변 확대를 통해 AI가 실생활에 더욱 밀접하게 적용돼 일상에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심지혜 기자(sjh@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T 'AI 통합 패키지' ITU-T 표준과제 승인…"글로벌 스탠다드 선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