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빚에 허덕이는 韓, 가계부채 증가속도 1위…"GDP 규모 이미 추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경기회복·대출구조 합리화가 선행되지 않은 DSR 전면 도입, 시기상조"

현재 우리 경제의 가계부채 규모는 1천936조원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0%를 초과했다. [사진=픽사베이]
현재 우리 경제의 가계부채 규모는 1천936조원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0%를 초과했다. [사진=픽사베이]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가계부채 총량억제를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성급하게 시행할 경우 내수경기의 심각한 위축을 유발해 경기회복의 가능성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가계부채 현황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우리 경제의 가계부채 규모는 1천936조원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100%를 초과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전년 대비 9.5%로, 주요국 가운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 가계부채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국내총생산(GDP)의 3배, 민간소비의 5배에 가까운 속도로 증가하며 전반적인 거시건전성을 심각하게 저하시켜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한경연]
[그래프=한경연]

가계의 소득으로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OECD 국가들 중 최상위권인 170%를 초과 기록했다. 또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나 '유동화자산 여력 지수' 등 금융시장 충격에 대한 대응 여력 및 실질적인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최근 5년간 취약계층(1분위)을 중심으로 빠르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은 코로나19 위기기간을 경과하며 더욱 강화됐다.

보고서는 "특히 금리인상기에 접어든 현시점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연내에 기준금리의 인상이 이뤄진다면 원리금상환부담 상승으로 인한 가계부채부실화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자칫 취약계층의 채무상환여력을 줄일 수도 있는 무리한 총량규제 정책보다는 해당계층의 상환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세심한 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래프=한경연]
[그래프=한경연]

가계부채의 경감 및 증가율 완화를 위해 정부는 올해 7월부터 총량규제 성격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시행해 나가기로 공표했다.

그러나 보고서에서 분석한 동태적·확률적 일반균형(DSGE) 모형의 DSR 효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DSR 시행으로 가계부채의 증가세 억제에 수반해 총생산 및 소비감소 등 경기위축의 부작용 역시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대해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경제규모나 소득수준에 비해 주택가격이 높게 형성된 우리 경제의 특성상 상환능력을 감안해 대출상한을 결정하는 DSR의 경우 차입규제에 따른 부작용이 클 수밖에 없다"며 "이에 따른 영향은 소비탄력성이 큰 중·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가계부채가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경기회복의 기로에 서있는 현상황에서 뚜렷한 실효성을 확인할 수 없었던 총량규제 정책을 또 다시 되풀이하기 보다는 ▲장기·고정금리 중심으로의 전환 등 가계부채 합리화를 신속히 추진하는 한편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상환능력심사는 시장의 자율에 맡기는 선진국형 여신관행 정착이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빚에 허덕이는 韓, 가계부채 증가속도 1위…"GDP 규모 이미 추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