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국민 1인당 '비비고 국물요리' 네 그릇씩 먹었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출시 4년만에 2.2억개 팔려…"연 2천억 원 외식 브랜드 목표"

[아이뉴스24 이현석 기자] 국물요리 가정간편식(HMR) 시장 확대를 이끌어 온 CJ제일제당의 '비비고 국물요리'가 출시 4주년을 맞았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국물요리가 지난 2016년 6월 출시 이후 4년간 누적 판매량 2억2천만 개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누적 매출은 5천억 원에 달한다. 이는 국민 한 사람당 네 그릇을 먹은 셈이다. 그동안 판매된 국물요리 제품을 연결하면 지구 둘레 한 바퀴(4만여km)에 해당한다.

◆'비비고 육개장', '국민 육개장' 등극

앞서 CJ제일제당은 맛과 편리성을 동시에 찾는 현대인의 트렌드에 맞춰 품질을 높인 상온 형태의 국물요리HMR 시장 선점에 나선 바 있다. 짧은 유통기한을 가진 냉장 제품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실한 건더기 등 단점을 지닌 이전 상온 제품의 맛 품질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이에 CJ제일제당은 가정 내 취식 트렌드 분석을 통해 평소 즐겨 먹지만 집에서 만들기 어려운 육개장을 전략 제품으로 선보였다. 또 김치찌개, 된장찌개 등도 함께 선보여 소비자의 '집밥 니즈'에 충실했다. 일 년 여의 연구 개발을 걸쳐 재료 본연의 식감과 신선함을 살리고, 직접 우려낸 육수로 '제대로 된 가정식'을 구현해냈다.

비비고 육개장은 출시 초반부터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혀 나갔다. 전자레인지 4분조리로 시간을 절약하고 요리로부터 해방감을 느끼게 한 부분이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가시비(가격 대비 시간)'를 추구하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CJ제일제당의 비비고 국물요리가 출시 4년만에 누적 2억2천만 개 판매를 기록했다. [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의 비비고 국물요리가 출시 4년만에 누적 2억2천만 개 판매를 기록했다. [사진=CJ제일제당]

이후 비비고 육개장은 단일 제품으로 누적 판매 1,200억원을 기록하며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집밥 문화'가 확산되며 비비고 국물요리가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졌다. 실제 CJ제일제당이 지난 4월 선보인 '프리미엄 비비고 차돌육개장'은 출시 두 달 만에 35만 개가 판매되며 '국민 육개장'의 명성을 잇고 있다.

◆차별화된 R&D 기반 외식형 수산 국물요리 개발…'외식의 내식화' 선도

비비고 국물요리는 육개장 외에도 사골곰탕, 두부김치찌개, 된장찌개 등 집밥 메뉴들로 론칭 반 년 만에 14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후 CJ제일제당은 육개장을 성공시킨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갈비탕, 차돌된장찌개 등 육류 건더기를 푸짐하게 넣은 제품들로 라인업을 확장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집밥 메뉴들만으로는 시장 성장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외식으로 즐길 수 있던 메뉴들을 제품화하며 또 한 번 진화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육류 원재료 고유의 식감을 살리는 '원물 제어 기술'을 개발해 적용했다. 양이 부실하거나 고기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었던 이전 제품들과 달리 전문점 수준의 외관과 맛 품질을 그대로 구현했다.

비비고 국물요리는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장하며 진화해 왔다. [사진=CJ제일제당]
비비고 국물요리는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장하며 진화해 왔다. [사진=CJ제일제당]

이 같은 원물 제어 기술은 육류보다 열에 약해 상온으로 선보이지 못했던 수산 국물요리 개발에도 적용됐다. CJ제일제당은 차별화된 기술로 수산 원물의 약점을 극복해 외식에서 즐길 수 있는 메뉴들을 차례대로 식탁으로 옮기며 '외식의 내식화' 트렌드를 선도했다. 4개 제품으로 시작했던 라인업도 현재 23종으로 확대됐다.

이 같은 도전의 결과 비비고 국물요리는 지난해 매출 1천670억 원을 달성, 4년만에 10배 이상 성장하며 메가 브랜드 반열에 올랐다. HMR 시장 내 국물요리 카테고리를 확장시키고 소비자 선택의 폭도 넓혔다는 평이다.

경쟁사들도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닐슨 기준 2016년 400억 원 규모에 불과했던 상온 국물요리 시장은 지난해 2천500억 원대로 커졌다. 또 비비고 국물요리는 지난 4월 기준 시장 점유율 46%를 기록하며 2017년부터 3년 연속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연 매출 2천억 원 달성 목표…해외 메인스트림 시장 개척 나서

향후 CJ제일제당은 올해 '비비고 차돌육개장'을 시작으로 기존 스테디셀러 제품들의 프리미엄 제품들을 차례로 선보여 연 매출 2천억 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차별화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외식·수산형 메뉴들로 제품을 다각화했다면 올해는 한층 더 높아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프리미엄 제품들로 시장을 리딩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구상이다.

해외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현재 약 40여 개국에 '비비고 국물요리'를 수출하고 있으며 올해 글로벌 전용 제품으로 한인 타깃뿐만 아니라 해외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권역을 넓힐 계획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달 초부터 '비비고 삼계탕'을 본격적으로 판매하며 한국의 보양식 문화를 알리고 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비비고 국물요리는 경쟁업체들이 따라올 수 없는 맛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 성장을 이끌고 새로운 식문화 트렌드를 만들어 왔다"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대표 한식 HMR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현석 기자 tryo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민 1인당 '비비고 국물요리' 네 그릇씩 먹었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