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최시원, 램프의 요정 변신'…SKT, 점프스튜디오 1시간 '성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언택트 시대, 혼합현실 콘텐츠가 대세... 고객 5G 실감미디어 경험 확대할 것"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슈퍼주니어가 온라인 콘서트 무대에 올랐다. 슈퍼주니어 멤버 가운데 최시원씨가 보이지 않자 나머지 멤버들이 다급히 찾았다. 이때 무대 뒷편에서 램프의 요정 지니처럼 거대한 최시원씨 3D 혼합현실 이미지가 튀어나와 12m 높이의 공연장을 가득 채웠고,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30초간 대화를 나눴다.

SK텔레콤(사장 박정호)은 SM엔터테인먼트(공동대표 이성수, 탁영준)와 손잡고 슈퍼주니어 온라인 콘서트에서 3D 혼합현실 공연을 선보였다고 1일 발표했다.

지난 4월말부터 가동한 혼합현실 제작소 '점프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 라이브 공연에 적용한 첫 사례다.

SM엔터테인먼트가 선보인 세계 최초 온라인 전용 유료 콘서트 '비욘드 라이브(Beyond LIVE)'는 이미 동방신기, SuperM(슈퍼엠) 등 인기 그룹이 참여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슈퍼주니어는 어제 5월31일 오후 3시부터 130분간 ▲쏘리, 쏘리(Sorry, Sorry) ▲미스터. 심플(Mr. Simple) 등 히트곡 무대를 연달아 펼쳤으며, 전 세계 온라인 관객 수는 12만3천여명에 달했다.

SK텔레콤은 점프스튜디오에서 슈퍼주니어 최시원씨를 106대의 카메라로 1시간동안 촬영 후 하루만에 3D 혼합현실 콘텐츠를 완성했다. 점프스튜디오의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해 12m 크기의 고해상도 혼합현실 이미지를 실제 공연장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제작했다.

점프 스튜디오는 AI, 클라우드, 3D 프로세싱, 렌더링 기술로 기존 3D 모델링 작업의 수작업 공정을 상당 부분 자동화한 결과다.

점프스튜디오는 106대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로 초당 최대 60프레임 촬영 후 고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스트리밍이 가능한 용량으로 자동 압축해 제공한다. 기존 미디어 제작 시스템과 호환성이 높은 비디오 포맷(MPEG4)을 지원한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한번 촬영한 3D 혼합현실 콘텐츠를 자유롭게 확대, 축소, 복제할 수 있어 창작자의 표현 영역이 넓고, 대규모 촬영 장비를 동원하지 않아도 실내 스튜디오에서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엔터테인먼트, 광고, 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B2B 고객을 대상으로 혼합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5G 이용 고객의 실감미디어 경험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전진수 SK텔레콤 5GX서비스사업본부장은 "언택트 시대를 맞아 혼합현실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며, "혼합현실 콘텐츠가 공연, 영화, 드라마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문기 기자 moo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최시원, 램프의 요정 변신'…SKT, 점프스튜디오 1시간 '성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