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코로나19로 급부상한 중국, 언택트 산업 공략해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무협, 중국 언택트 산업 분석…전연령층, 전산업으로 확대 전망

[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중국 비대면 비즈니스가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의 발 빠른 참여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발표한 '코로나19로 주목받는 중국의 언택트 산업'에 따르면 최근 중국 경기가 침체를 보이는 가운데 원격근무, 온라인교육, 원격진료, 신선식품 온라인 구매 등 비대면 기반의 '언택트 산업' 수요가 늘면서 유망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춘절 연휴 이후 개학이 연기

중국의 원격근무 이용률은 2018년 0.6%로 미국(18.9%), 영국(12.8%) 등에 크게 못 미쳤으나 코로나19 방역기간 중 재택근무가 늘면서 올해 시장 규모가 2018년보다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3월 알리바바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딩톡은 하루 최대 1억명 이상이 2000만 건의 화상회의를 이용하는 등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약 1000명의 근로자를 추가 모집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되고 학원들이 문을 닫으면서 온라인 교육서비스가 오프라인을 대체하고 있다. 중국 최대 교육 서비스 기업 신동방은 1월말부터 모든 강의를 온라인으로 전환해 97만 명 이상이 온라인 수업에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원격진료 서비스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춘절 기간 중 중국 주요 온라인 의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진료를 받은 이용자는 하루 최대 671만 명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의 원격의료 시장규모는 190억 위안(약 3조3000억원)으로 2015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장 구입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도 크게 늘고 있다. 보고서는 "메이르유센(텐센트), 징둥따오지아(징둥닷컴), 허마(알라바바) 등 주요 플랫폼을 중심으로 춘절연휴 매출이 예년에 비해 3~4배 이상 늘어나는 등 외식과 오프라인 매장 쇼핑을 점차 대체하고 있다"고 밝혔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 박민영 지부장은 "과거 온라인 쇼핑 등 소비자 대상(B2C)으로 시작된 언택트 산업이 기업간 거래(B2B)를 비롯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각종 무인 서비스, 홈 엔터테인먼트 등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언택트 산업이 일상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코로나19로 급부상한 중국, 언택트 산업 공략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