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LS전선, 스위스 이어 세계 2번째 고속철도용 전선 개발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터널 공사비 15% 이상 절감, 수입대체 효과 '톡톡'

[아이뉴스24 조석근 기자] LS전선은 고속철도용 '강체 전차선(Rigid Bar)'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강체 전차선은 구리 전차선이 아닌 알루미늄 바(bar)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전차선을 지지하기 위한 설비들이 필요 없어 터널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강체 전차선 사용시 KTX와 GTX 등 고속철의 터널 공사 비용을 15% 이상 낮출 수 있다. GTX의 경우에는 99% 이상이 지중 터널을 지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는 더욱 커진다.

또 강체 전차선은 기존 전차선처럼 단선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고,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다는 게 LS전선측 설명이다.

LS전선의 이번 강체 전차선 개발은 스위스 업체에 이어 세계 2번째다. 지하철용 저속 제품은 2013년 LS전선이 국산화에 성공했으나, 시속 250km급 고속용은 2018년 부전-마산 복선전철에 스위스 제품이 사용되는 등 전량 수입해 왔다.

LS전선 이인호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전세계적으로 철도가 고속화, 장거리화 되고, GTX와 같은 광역급행철도가 늘어나면서 강체 전차선 시장도 커지고 있다"며 "국내 상용화 실적을 토대로 해외에도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4년부터 국토교통부 국책 과제로 진행된 이번 시스템 개발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철도 기자재 전문업체인 평일, 디투엔지니어링 등이 함께 참여, 민관 공동 R&D와 대중소기업 상생의 우수 사례로 꼽힌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기원 박사는 "전세계적으로 지하 및 터널 구간의 고속화가 주요 화두가 되고 있다"며 "국내 자체 기술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속 전차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조석근 기자 mysun@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LS전선, 스위스 이어 세계 2번째 고속철도용 전선 개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