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5G+전략]②원격협진·지능형 SOC 확산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대 핵심서비스 집중지원

[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정부는 5세대통신(5G) 관련 5대 핵심서비스 확산을 본격화 한다.

기반·노후 사회간접자본(SOC) 관리와 국민생활 개선에 5G를 접목하고.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중 절반에는 5G 기반 원격협진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헬스케어를 5G플러스 5대 핵심서비스로 정하고, 2021년까지 민간에서 5대 서비스의 수익모델 발굴과 실증을 지원한다.

먼저 2025년까지 '5G플러스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세종·부산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에 선도 적용한다.

또 5G 실감 생방송 기술을 문화·공연 시설에 확대 적용하고, 서울 5개, 지방 10개 시설에 라이브 촬영장비와 5G 원격공연 인프라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수도권 문화 공연의 지방공유 원격협주를 실현하는 등 실감콘텐츠 확산에 나선다.

특히 주요 거점산업단지에 5G 기반 스마특공장 인프라와 솔루션을 보급·고도화한다. 5G인프라와 업종별 특화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며, 지자체 C-ITS 구축과 연계된 5G 서비스 탑재 버스 1천여대를 보급하는 등 자율주행차(5G V2X)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상용화를 지원한다.

 [출처=과기정통부]
[출처=과기정통부]

스마트시티에서는 지능형 도로안전을 위해 5G CCTV, 5G 기반 재난안전 서비스의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전국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5G 무선 CCTV는 전국 주요도시 250여개 횡단보도에 도입된다.

아울러 119구급차와 병원에는 5G 응급의료서비스를 적용한다. 2~3곳의 실증지역을 정하고, 2025년까지 구급차 7천여대와 응급의료기관 400여개의 20%까지 확산한다.

정부는 공공분야에서 5G 수요를 선도적으로 창출하기 위해 도로·항만·공항 등에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5G 로봇‧CCTV 활용 등)를 구축하는 '5G플러스 스마트 SOC 프로젝트'를 2020년까지 추진한다.

교육‧문화시설에도 5G 기반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을 지원하고, 고위험 작업장 실시간 모니터링과 작업자 생체정보 확인 등 5G 기반의 안전한 원자력발전소 해체 기술을 2023년까지 개발‧적용한다.

로봇·드론 등 첨단디바이스에도 5G 공공수요를 눌린다. 5G 공공 서비스로봇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치안·안전·환경·측량 등에 5G 드론 서비스 연구개발(R&D)과 실증을 지원한다. 우편배송을 위한 5G 드론 개발은 물론 공공구매도 연계한다. 5G 지능형 CCTV R&D‧실증 및 재난안전 시범서비스도 2021년까지 추진한다.

교육·농업·환경 분야 등에도 국민생활 개선과 지역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수요 기반 5G 솔루션 보급한다. 지방·직업학교에서 5G 기반 가상·증강현실(VR·AR) 원격 교육과 훈련을 진행하고, 5G 무인 트랙터·드론과 5G 기반 미세먼지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도입한다.

거점병원과 병·의원에는 '5G 기반 원격협진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23년에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중 50%까지 확대한다. 복지 담당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에게 5G 단말기를 보급해 지역 복지기관과 실시간 영상상담을 2021년까지 제공한다.

이 밖에 5G와 연계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도시운영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내 데이터‧인공지능(AI) 센터를 2022년까지 구축한다.

도민선 기자 domingo@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5G+전략]②원격협진·지능형 SOC 확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