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르포]평창에서 미리 체험한 5G 올림픽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AI 솔루션 등으로 안정적인 5G 네트워크 운영

[아이뉴스24 도민선기자] 지난 19일 평창올림픽 준비가 한창인 강릉과 평창 일대를 찾았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경기가 열릴 강릉 아이스아레나는 막바지 실내 공사가 한창이었다. 1만2천석 규모의 관중석이 4면으로 얼음이 얼 바닥면을 둘러싸고 있는데, 그 중 한 벽면에서 DSLR 카메라와 스테빌라이저 100세트를 설치하고 있었다.

KT(대표 황창규)가 평창올림픽에 선보일 5세대통신(5G) 시범서비스는 벌써 기대 이상의 완성도를 보였다. KT는 ICT올림픽에 초점, 이곳에서 ▲타임슬라이스(피겨, 쇼트트랙 스케이팅) ▲싱크뷰(봅슬레이) ▲옴니포인트뷰(크로스컨트리) ▲360도 VR(아이스하키) ▲5G 커넥티드카 등을 준비중이다.

KT는 네트워크규격, 칩셋(Soc), 단말, 시스템, 서비스까지 5G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춘 통신사로서 이번 5G 시범서비스를 위해 주파수 3.5㎓ 대역 100㎒, 28㎓ 대역 800㎒를 임시로 쓰며 5G 네트워크를 실증하고 있다.

실제로 올림픽 네트워크는 크게 대회운영에 쓰이는 '대회통신망', 관객과 선수들이 쓰는 '무선통신망', 중계방송을 전 세계로 내보내는 '방송중계망'으로 나뉜다. 영상·음성·데이터 신호를 횡계(설상)·동강릉네트워크센터(빙상)까지 전달하고, 이를 서울 목동과 분당 IDC에서 해저케이블을 통해 네덜란드에 있는 올림픽 파트너 'AtoS'에 보내게 된다.

KT는 5G 뿐만 아니라 올림픽이 열리는 경기장, 선수촌, 호텔, 공항 등 주요 장소에 3G·LTE 기지국 870여식을 구축, 운영 중이다. 또 대회운영과 경기 중계에 필요한 통신·방송용 광케이블 선로 1100㎞를 깔아 8테라급의 대역폭도 확보해놓는 등 만반의 준비에 나섰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 사장은 "실제로 체험하고 느끼는 올림픽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했다"며, "2020 도쿄 하계올림픽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5G 경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AI스피커 음성명령으로 통신장애 복구

당초 KT는 지난 2013년 10월 평창동계올림픽의 통신부문 공식파트너로 선정될 당시에는 대회통신망 구축과 안정적 운용이 주요 역할이었다. 하지만 황창규 KT 회장이 'MWC 2015'에서 세계 첫 5G서비스 실현을 공언하면서 안정적인 5G 운용 및 제공에 박차를 가해왔다.

실제로 KT는 이곳 서강릉국사와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옆에 '평창 5G 센터'를 운용 중으로 현장에서 직접 AI 네트워크관제 장면을 지켜볼 수 있었다.

특히 장애 예측 솔루션은 고객 불편이 발생하기 전에 운용자가 처리하기 힘든 다양한 서비스품질과 장비상태를 분석·예측해 최적의 조치를 제공한다. 이 과정이 AI스피커 '기가지니(GiGA Genie)'를 통해 음성인터페이스로 전달돼 초급자도 쉽게 장애에 대처할 수 있다.

인위적으로 한 곳에 장애를 발생시키자 기가지니가 경고를 울리고 대응 방법을 알려줬다. 시연자가 음성으로 대처를 명령하고 장애 내역을 알려달라고 하자, 연결된 TV 화면에 결과를 바로 보여줬다.

강릉 경포호 일대에서 타볼 수 있는 5G 커넥티드 버스에서는 창문에 설치된 홀로그램 영상을 통해 8개 이상의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날 타본 버스에서 측정된 5G 속도는 하향기준 최대 920Mbps, 평균 650Mbps 였다. 현재 설치된 기지국에서는 최대 5Gbps의 속도까지 제공할 수 있는 상태다. KT는 올림픽 기간에는 더 발전된 커넥티드 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버스 외에도, 경포호 주변에는 카메라와 5G 영상송신 장비를 장착한 스카이쉽이 하늘을 날고 있었다. 지난 10월 부산에서 해상안전솔루션을 시연하며 선보였을때는 LTE 모듈로 영상을 보내왔지만 이번에는 5G망을 통해 더 신속한 영상을 받아 볼 수 있다.

KT는 평창에서의 5G 경험을 토대로 내년 본격화될 글로벌 5G 표준 경쟁에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내년 6월 3GPP에서 리즈15 완성, 내년 상반기 5G 주파수 할당, 그리고 2019년 상반기 상용화가 남아있다.

평창=도민선기자 domingo@inews24.com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르포]평창에서 미리 체험한 5G 올림픽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