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근기자] 정부가 설정한 내년 UHD 지상파 본방송 일정이 불과 3개월 남짓 코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본방송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재정악화로 UHD 콘텐츠 투자여건이 갈수록 악화되는 데다 UHD TV를 둘러싼 방송사와 제조사들의 갈등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이같은 상황에서 일정을 무리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는 회의론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2일 국회 'UHD 방송정책 세미나'에서 "UHD가 2014년 케이블TV를 통해 상용화됐지만 보급률도 낮고 컨텐츠도 현저히 부족하다"며 "과연 내년 2월 UHD 본방송이 무사히 될지 상당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같은 상임위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도 UHD 본방송 일정이 빨간불임을 확인했다"며 "현실적으로 정부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여유가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2월 수도권을 중심으로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방송의 UHD 본방송을 시작할 예정이다. 연말까지 전국 광역시와 평창 올림픽 개최지역인 강원권으로 확대하고 2021년까지 전국 시군 지역으로 본방송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UHD 본방송 도입의 주축은 지상파 방송사다. 지상파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6조7천900억원을 UHD 방송 인프라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5조8천억원을 투입해 콘텐츠 제작역량을 확보하기로 했다. 문제는 인터넷, 모바일 시장의 급부상으로 해마다 방송사들의 이익규모도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날 KBS 박종원 대외정책부장은 "KBS가 2000년대 초반 7천억원대 광고매출을 기록했으나 올해는 4천억원, 내년은 3천억원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갖고 있지 않으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정민 전남대 교수는 "방송산업에서 내부에서 중간광고, 총량제 등 광고규제를 풀어봐야 효과는 1천억원 정도"라며 "이같은 재원구조 아래선 UHD 방송의 핵심인 콘텐츠 시장 자체가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가 채택한 미국식 UHD 기술표준 자체도 내년 초 완성된다"며 "기술표준에 대한 전체적인 테스트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본방송을 급하게 서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임정수 서울여대 교수 역시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될 당시 정부와 업계는 (현재 UHD 도입 이유처럼) 확고한 화질, 음질 등을 강조했으나 사람들은 아날로그 방송의 기존 브라운관 TV보다 디지털 방송의 얇은 LCD TV 외형에 더 큰 매력을 느겼다"며 "UHD 방송이 이용자들에게 어떤 매력을 제공할지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미방위 소속 새누리당 이은권 의원, 민주당 김성수 의원,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 정의당 추혜선 의원과 한국방송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김유정·이문행 수원여대교수, 안승현 아시아UHD 대표, 미래부 및 방통위 관계자들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