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은기자]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분야 등에서 고부가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인재 양성 체계 구축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소장 김진형)는 지난 28일 경기도 판교 연구소에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일자리' 포럼을 열고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일자리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세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이동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이정원 한국창직협회 회장의 주제 발표와 패널 토의 등이 진행됐다.
이날 김세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기술에 의한 대체가 쉬운 영업 및 판매직 종사자가 많고, 교육, 법률, 의료 등 고숙련 전문 서비스 종사자가 적다"며 기술 진보에 취약한 일자리 구조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동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3D 프린팅 등 미래 유망 분야에서 단기간에 대규모 고부가치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글로벌 패권을 쥔 국가가 가장 큰 일자리 창출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이같은 변화에 대응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체제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지능정보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의 필요성 역시 강조됐다. 특히 인공지능(AI) 분야 등 파급력이 높은 일자리를 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중진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팀 팀장은 "100명의 AI 전문가가 기술을 고도화하면,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수만 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이정원 한국창직협회 회장은 "이미 존재하는 직업을 갖기 보다, 스스로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가는 '창직' 활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진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역시 "급변하는 일자리 지형을 읽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미래 일자리 연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