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재용 기자] 금융권 대출 연체율에 비상등이 켜졌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겹치며 대출자들의 상환 여력이 급격하게 떨어진 탓이다. 코로나19 관련 대출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하는 오는 9월이 오면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금융권의 현 상황을 들여다보고 위기 수준을 점검해 본다. [편집자]
은행권부터 제도권 금융 마지노선인 대부업까지 전 금융권 대출 연체율이 모두 오름세다. 고금리로 가계와 기업의 상환 여력이 크게 준 영향이다. 당장 위기 수준이 높진 않다. 다만 고금리와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코로나19 대출 관련 금융지원 종료에 따른 부실 위험에 대비해 관리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6%로, 전월 말 대비 0.05%포인트(p) 상승했다. 2월 연체율 수치는 지난 2020년 8월 0.38%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6월 0.20%까지 내려갔던 국내은행 연체율은 8개월 만에 0.16%p 올랐다. 지난해 9월과 12월에 잠시 떨어지기는 했으나 분기 말에 은행들의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한다는 요인을 고려하면, 사실상 연체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셈이다.
2월 중 신규 연체율을 봐도 0.09%로 전월에 이어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전년 동월(0.05%)보다는 0.04%p 상승했다. 신규 연체 발생액은 1조9천억원으로 전월과 비슷했다.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전월 대비 2천억원 증가한 8천억원이었다.
차주별로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0.32%로 전월 대비 0.04%p 올랐다. 그 중 개인 신용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보다 0.09%p 상승했다. 기업 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 대비 0.05%p 올라 0.39%를 나타냈다.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 폭이 0.08%p로 컸다.
금융권 부실을 가늠하는 후행 지표인 은행권 연체율이 오름세라는 것은 이미 비은행의 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카드사 연체율은 지난 1분기 1.10~1.37%를 나타냈다. 통상 카드대출 연체율은 2%부터 위험 수준으로 여긴다.
서민금융 최후의 보루인 저축은행과 대부금융의 연체율은 각각 5%와 10%를 넘겼다.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5%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6년 이후 처음이다. 대부업 연체율은 1년 사이 3.5%p나 오른 수치다.
특히 2금융권의 기업 대출 연체율 오름세가 가파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제2금융회사의 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말 기준 2.24%였다. 지난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 수준이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3년부터 하락을 지속했던 은행업종의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말 상승 전환 후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며 "아직도 총 연체율은 코로나19 직전보다 낮지만, 악화의 속도가 가파른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