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재용 기자] 서민급전창구 역할을 해온 카드사 장기카드대출(카드론) 문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자금 조달로인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금리가 기준금리 상승과 맞물려 치솟고 있어서다. 하반기에도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되면서 가계 경제 부담은 커질 전망인데, 발등에 불 떨어진 서민의 마지막 버팀목인 카드론마저 빨간불이 켜지면서 이래저래 서민 한숨만 늘게 됐다.
21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한·KB국민·삼성카드가 찍어내는 여전채 AA+ 3년물 금리는 전날 기준 연 4.463%를 나타냈다. 현대·우리·하나카드가 발행하는 AA0 3년물 금리는 연 4.513%로 집계됐다. 특히 여전채 AA+ 3년물 금리는 지난 17일 연 4.517%를 기록하며 10년 8개월만에 4.5%를 넘어서기도 했다.
여전채 금리 상승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영국 중앙은행도 1.25%로 0.25%p를 인상했다. 스위스 중앙은행은 15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미 연준이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물가를 잡기 위해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미국 국채 금리가 올랐고, 국내 국고채와 여전채 금리 상승으로까지 이어졌다.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많은 자금을 외부에서 조달하므로 여전채 금리 상승은 자금 조달 비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자금 조달가격이 오르면 조달비용 원가에 마진을 붙여 내놓는 카드론 등 대출 상품 금리도 오르게 된다.
최근 카드사들이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등 자금조달로를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자금조달의 약 70%는 여전채에 의존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여전채 금리가 조달 비용에 바로 반영되진 않지만,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조달 비용 상승과 이에 따른 상품 금리 인상 압박은 불가피하다.
실제로 카드사들은 조달자금 중 50% 이상이 약 2년 내 만기가 도래해 금리 인상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상황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비씨를 뺀 전업카드사의 여전채 잔액은 73조3천억원, CP·단기사채는 16조8천억원으로 총 90조1천억원이었다. 이 중 28.1%인 25조3천억원이 올해안에, 23.9%는 내년 중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다.
카드 업계 관계자는 "여전채 금리 상승분 반영 영향이 단기적으로는 크지 않다"면서도 "금리 인상이 계속되는 만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조달 비용이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카드사들이 여전채 발행을 통해서 조달한 자금으로 카드론 같은 대출 상품들을 운용하기 때문에 조달 금리 상승은 카드론 금리 상승과 직접적으로 맞물린다"며 "카드론 금리의 상승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기준금리는 앞으로 한 3년, 오는 2024년까지는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며 "카드사를 비롯한 전 금융사들이 이에 대비한 경영 전략과 대응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