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에 움츠러든 세계 경제…"회복 낙관 일러"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경제단체, 장단기 경제회복 지연 전망 多…포스트 코로나 기업 줄도산 우려 높아

예방접종 의무 위탁의료기관인 인구보건복지협회 제주가족보건의원 접종실에서 의료진이 얀센 백신을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예방접종 의무 위탁의료기관인 인구보건복지협회 제주가족보건의원 접종실에서 의료진이 얀센 백신을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글로벌 민간 경제계가 올해 반복적인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경제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정부·국제기구보다 더 비관적으로 세계 경제를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GBC(세계경제단체연합), OECD BIAC 등 전 세계 주요 18개 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지난 5~6월에 걸쳐 실시한 '세계경제 결정적 순간 : 코로나 2년차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

설문에 참여한 국가들은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GDP의 52%를 차지하는 주요 18개국과 EU와 OECD 등 경제권을 대표하는 국제기구 3개다.

 [그래프=전경련 ]
[그래프=전경련 ]

최근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민간 경제계는 올해 세계경제를 국제기구의 예측에 비해 훨씬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세계경제의 코로나 회복 양상과 관련해 대다수(84.1%)가 코로나의 반복적인 국지적 재발이 올해 세계 경제를 특징지을 것으로 관측했다. 절반 가량(47.4%)이 '코로나의 국지적 발발로 인해 단기적으로 경제성장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고, 10.5%는 '장기적으로도 경제회복이 늦춰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반이 넘는(52.4%) 세계경제단체가 IMF가 예상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6%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전망했으며,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예상한 경제단체도 38.1%에 달했다.

이는 세계경제단체들이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의 경우 향후 1년 반 안에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경제가 회복(71.4%)되는 반면, 백신 배포가 늦은 국가의 경우는 3년 이상이 소요(52.4%)되는 등 낙관론 일색인 정부 기관들의 전망에 비해 경제회복 속도의 격차가 있을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또 ▲경제단체들이 각 지역별·국가별 경제 현황과 세계경제와의 격차를 파악하고 있는 점 ▲기업 현장에 직접 접해있는 점 등 글로벌 경제단체들의 현실적인 체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타격 이후 세계화와 다자주의가 손상을 입은 가운데 세계경제단체들은 앞으로 자국중심주의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어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에게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응답 국가의 47.7%(약한 자국중심주의 38.2% 및 강한 자국중심주의 9.5%)는 다자주의·세계화가 향후 계속해서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예측했다. 9.5%는 코로나19로 훼손된 작년·올해 수준의 현상 유지, 42.8%(약한 다자주의 33.3% 및 강한 다자주의 9.5%)는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래프=전경련 ]
[그래프=전경련 ]

또 미중갈등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질서와 관련해 절대다수인 90.5%(디커플링 심화 42.9% 및 첨단 산업 미국, 공급사슬 중국 양분 47.6%)가 미중 경제대립 첨예화를 예상해 미중 사이의 한국기업의 입장은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응답 국가의 47.6%가 첨단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전통제조업의 공급사슬은 중국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세계경제가 양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42.9%는 전방위적인 중국과의 디커플링 심화를 전망했다.

바이든 주도로 미국이 리드하는 세계 경제질서가 강화될 것으로 본 응답자는 9.5%에 머물렀다. 또 중국이 세계적으로 주요국 중 유일하게 작년 코로나 시국에서 플러스 경제성장을 이룬 점이 코로나 발생 이후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 중 2위(22.6%)로 꼽혀 세계 각국이 중국의 부상을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코로나 강타 이후 글로벌 공급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국 공급망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57.1%로 과반을 넘었고,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공급망 변화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국내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오프쇼어링(29.2%), 제조시설이 본국에 인접한 국가로 재배치되는 니어쇼어링(25.0%) 등 해외 공급망이 적극적으로 개척· 다변화되고 있었다. 기업이 본국으로 되돌아오는 리쇼어링(16.6%) 형태도 다수 조사됐다.

 [그래프=전경련 ]
[그래프=전경련 ]

세계 주요국 경제계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 대응 기업 지원책이 실제로 도움이 됐다(매우 도움 됨 38.1%, 다소 도움 됨 33.3%)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재정정책 운용 방향을 올해까지는 긴축재정으로의 전환(25.0%)보다는 확정재정 기조를 지속(75.0%)시켜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향후 효과적인 재정정책 운용을 위해서는 절대다수가 근로자에 대한 직접 지원(20.0%)보다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하라는 의견(80.0%)에 힘을 실었다.

세계 경제 단체들은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실업, 금융불안정, 빈곤 심화보다 기업의 생존 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 부양책 종료 후 드러날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응답자의 38.2%가 '정부 인공호흡으로 버텨 온 기업들의 도산'을 1순위로 꼽았다. '막대한 유동성 공급 후 금융과 실물의 괴리와 부작용(17.7%)', '고용지원 제도 종료 이후 실업 전면화(17.7%)', '빈곤·불평등 심화(17.6%)' 등이 뒤를 이어 정부 부양책 종료 이후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 최저법인세, 탄소세, 디지털세 등 기업 대상의 각종 세금에 대해선 '정치 리더십이 한계에 부딪힌 재정 이슈를 각종 세금의 형태로 기업에 전가한다(36.4%)'고 지적했다.

 [그래프=전경련 ]
[그래프=전경련 ]

또 세계 각국은 코로나 이후 도입된 원격근무가 영구히 정착할 것으로 판단했다. 원격근무와 현장근무가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운영되는 가운데 오피스 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응답이 81.0%, 원격근무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응답이 나머지 19.0%를 차지했다. 코로나 이전과 같은 오피스 중심의 근무방식으로 돌아가거나 완전한 원격근무 형태로 전환할 것이라는 응답은 전무했다.

지난 1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며 드러난 가장 예상치 못했던 사실로 '전 세계적인 백신 접종 거부 현상(35.5%)'이 1위로 꼽혔다. '중국의 세계 유일한 플러스 경제성장(22.6%)'이 뒤를 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체감 경제전망이 국제적인 공식 통계보다 비관적으로, 올해 세계경제 회복에 대한 낙관은 아직 조심스럽다"며 "'경제=심리'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코로나 정부지원 종료 후 기업의 줄도산이 예상된다는 점을 보면 실물경제 현장은 예상보다 심각할 수 있다"며 "기업 생존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에 움츠러든 세계 경제…"회복 낙관 일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