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7일 국회에서 진행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LG화학의 에너지저장시설(ESS)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내 ESS 화재 절반 이상이 특정 장소·시기에 생산된 LG화학 제품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특히 여야 의원들은 정부의 ESS 화재 조사 결과가 나온 이후에도 화재 사고가 계속되자 정부를 질타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관련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밝히면서도 LG화학 ESS에 대한 리콜 요구에 대해선 "법적 대상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용주 무소속 의원은 이날 국회 산자위 국정감사에서 "지난 2017년 이후 2년간 26건의 ESS 화재사고로 4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며 "특히 이번 화재에 연관된 ESS 제조업체의 88%가 대기업이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은 LG화학 제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2017년부터 발생한 국내 ESS 화재는 26건으로 이 중 14곳에서 LG화학 제품이 사용됐다. 삼성SDI 제품은 9곳에 쓰였고, 나머지 3곳은 인셀 등 군소 업체 제품이다. 문제가 된 LG화학 배터리는 모두 중국 난징공장에서 2017년 생산된 초기 제품으로 나타났다.
이용주 의원은 "민관합동 ESS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내놓은 회의록을 보면 부실하기 짝이 없다. 정부와 사고조사위는 ESS 화재에 대한 발화원인을 미상으로 놓고 왜 불이 났는지 모른다고 결론을 내놓았다"며 "원인을 모르니 결국 대책도 못 세우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앞서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LG화학의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의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 그러나 5개월간의 조사 끝에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 요인'으로 지목하지는 않았다. 상황을 재현하는 과정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철규 자유한국당 의원도 "정부는 ESS 제조사에 자가진단하도록 하고 점검결과를 일일보고 형식으로 받았는데 올해 ESS 화재사고가 발생한 8곳 중 7곳이 자체 안전점검을 받았다"며 "제조사가 자기 잘못을 셀프조사하고 시정하라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지키라고 하는 꼴"이라고 힐난했다.
이철규 의원은 LG화학에서 생산한 ESS에서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ESS 배터리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정부가 추진하는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기술적 흠결과 부담을 숨기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 충분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 장관은 원인조사위원회의 부실수사 논란에 대해 "위원회에서도 LG화학의 배터리를 의심해서 현지공장에 대해 방문해 실험실증조사를 했다"며 "조사위가 배터리가 셀 내부에서 접힘 등 결함을 발견해 이를 모사한 검증시험을 했지만, 화재로 이어지지 않아 가능성에 추가했다"고 해명했다.
성 장관은 "원인은 여러가지있지만, 발화지점은 결국 배터리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며 "조사결과 발표 이후에도 발생한 3건의 화재에 대해 심도있게 조사할 계획이며 발화원인과 문제점을 조사해 화재원인을 밝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성 장관은 일각의 LG화학 ESS 리콜조치 목소리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ESS는 하나의 제품이 아니고 배터리, PCS(전력변환장치), 소프트웨어 등 복합제품인 만큼 법적으로 리콜대상이 아니다"고 언급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