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이동통신 3사 요금경쟁이 본격화 되는 양상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2만원대 보편요금제 출시에 앞서 경쟁적으로 데이터 제공량 확대나 무약정 요금제 출시, 약정할인반환금 유예 등 통신비 부담을 낮추고 나선 것.
그러나 유통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가요금제 고객 유치시 더 많은 수수료를 제공하는 등 이 같은 저가 요금제 확대나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등과 엇박자를 내는 모습이다.
이 탓에 일각에서는 이통 3사의 요금제 개편 등이 정부 규제를 의식한 것으로, 실효성 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국회에서는 이통사의 이같은 고가요금제 중심의 판매정책 개선을 요구하는 등 이를 공론화할 움직임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최근 주요 대리점주에 신규 관리수수료 제도를 고시하고 고가 요금제 수수료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도 마찬가지로 고가 요금제 유치 시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관리수수료는 대리점의 고객 유치에 따라 이통사가 요금의 일정 요율을 지급하는 것. 이통사는 대리점에 사전에 약정한 요율에 따라 수수료를 지급한다. 이는 대리점의 주 수입원이다. 대리점 입장에서는 더 많은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고객 유치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
최근 이통사들이 저가요금제 확대 등 고객 가계통신비 부담을 낮추겠다고 하면서 정작 대리점 관리수수료 차등지급을 강화하는 등 유통 현장 가입자 유치 정책에서는 엇박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가령 KT는 이번에 기존 대리점에서 요금제 유치시 6.15%의 수수료를 지급했지만 이달부터 요금제별로 이를 차등지급하고 있다. 3만원 미만은 4.15%, 7만원 이상 요금제는 8.15%를 지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신 3만원 미만의 요금제는 기존대비 낮아진 4.15%를 지급한다. SK텔레콤도 고가 요금제 고객을 유치했을 때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대리점에 제공한다.
KT 관계자는 "3만원 미만 요금제는 주로 어린이, 청소년이나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지역별로 이 같은 가입자가 많을 경우 기존 관리수수료를 선택하면 된다"며, "고가 요금제 사용이 많은 도심지 등에서는 신규 관리수수료 제도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를 설명했다.
시장논리에 따라 높은 실적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은 문제가 없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또 정부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이통사들의 가입자당매출액(ARPU)이 줄어들면서 고가 요금제 고객 확보를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LG유플러스는 고가요금제 비율을 늘리면서 선택약정할인폭 증가에 따른 수익 하락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수수료 정책 등이 고가요금제 가입을 사실상 유도하고, 자칫 고객 차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논란의 여지는 남는다.
정부가 입법화를 통해 2만원대 보편요금제를 출시하려는 것은 저가 요금제 고객에 대한 선택권 확보 및 혜택 강화 차원이다. 이에 부응 이통 3사가 최근들어 요금제 재편 등 요금경쟁에 나섰지만 일선 대리점 영업방식은 여전히 변화가 없다는 뜻도 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추혜선(정의당)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이 같은 이동통신 고가요금제 유도 정책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에 대한 문제제기를 본격화 한다. 추 의원은 이통 3사 보편요금제 출시를 공론화하기도 했다.
추혜선 의원은 "유통망의 관리수수료 차등지급 등을 통한 이통사의 의도적인 고가요금제 유도가 끊이질 않고 있어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문기기자 mo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