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태현 기자] 올해 대한민국 자본시장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단연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주창하고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추진한 밸류업은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138개 상장법인이 참여했다. 뜨거운 호응을 얻었던 밸류업은 갑작스런 비상계엄 사태로 방향성을 잃었다는 평가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1월17일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시장 저평가) 해소를 천명했다. 민생 토론회 후 4개월여가 지난 5월에 밸류업 프로그램이 윤곽을 드러냈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상장사들의 밸류업 공시가 잇따랐다. 키움증권을 시작으로 콜마홀딩스·메리츠금융지주·미래에셋증권·현대자동차·SK 등은 자기자본이익률(ROE)·주주환원율 제고 등의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밝혔다.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부각된 것은 주주환원 확대였다. 대표적인 방안이 자기주식 소각과 배당 확대다. 올해 소각된 자사주만 13조9000억원(12월20일 기준)어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9배나 늘어났다. 현금배당 지급액도 45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7.2% 증가했다.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비쳤던 자사주를 소각하고, 배당금을 늘린다는 것은 큰 변화였다.
밸류업과 함께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 매입도 늘어났고, 대대적인 주주 환원책을 공표한 KB금융·하나금융 등 금융주를 중심으로 주가도 덩달아 올랐었다.
밸류업이라는 전례없는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덕분에 국내 증시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연말 발생한 비상계엄 선포는 밸류업 열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고, 밸류업을 상징하는 밸류업 지수는 주저 앉았다. 밸류업을 가속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도 멈춰섰다. 세제 인센티브는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고, 과도한 자사주를 소각하도록 하는 방안도 구현되지 못했다. 시작은 창대했으나, 끝은 미약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