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웹케시 "금융기관의 대응 전략 키워드는 바로 이것"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금융SaaS, 글로벌CMS, 차세대 e-뱅킹, 스마트금융 제시

[김관용기자] 스마트 기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SaaS, 글로벌CMS, 차세대 e뱅킹, 스마트금융이 금융기관의 대응 전략 키워드로 꼽혔다.

이는 전자금융 전문기업인 웹케시와 KT가 2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제3회 금융 CIO 초청 세미나에서 제시한 것으로 로 금융 비즈니스 채널이 급격한 변화를 겪는 상황에서 제시돼 주목된다.

'e금융 채널 혁명 채널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진행된 이 행사에서 석창규 웹케시 대표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중 유저가 필요로 하는 것만을 서비스로 배포해 이용하도록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금융에 도입한 금융SaaS를 소개했다.

석 대표는 "기존 인터넷뱅킹 플랫폼에 다른 금융 서비스들을 올리려다 보니 보안, 인증서, 위변조 등의 문제가 생겼다"면서 보안, 개발, 운영, 시스템관리 소프트웨어와 운영 및 보안 인프라를 포함한 금융SaaS 플랫폼 구축을 제시했다.

그는 "금융SaaS 플랫폼을 만들어 보조금관리, 연구과제, 연구비, 웹 sERP' 등의 업무를 사용료를 받고 SasS 형태로 고객사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석 대표는 또한 "우리나라 은행들이 기업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예금, 대출, 환전, 보험 등"이라고 지적하고 글로벌 자금관리시스템(CMS)도 제안했다.

그는 "많은 기업들이 해외에 나가고 있는데, 은행들은 기업 고객들의 자금관리를 해 줄수 있는 시스템이 안돼 있다"면서 "그러나 글로벌 은행들은 수요가 적은 한국에도 CMS를 구축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 은행들이 점포 개발 수준을 넘어 기업들이 해외에서 원활한 비즈니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줘야 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웹케시는 현재 부사장 산하 글로벌 CMS TFT를 구성하고 매년 1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석 대표는 차세대 e-뱅킹 구축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각종 전자금융에서 파생 비즈니스가 증가하고, 스마트폰 채널의 다양화와 융합 뱅킹이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차세대 e뱅킹 시스템은 다양한 물리적 디바이스 채널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콤포넌트(component)기반 구조로 예금, 보험, 가맹금 예치, 신규비즈니스 등의 요소를 인터넷뱅킹, 모바일, IPTV, 스마트폰에 한번에 대응할 수 있다.

석 대표는 "예산 및 투입 인력 규모와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면서 "기존 기획, 설계, 개발, 테스트, 안정화 방식을 단계별로 나누고, 단계마다 안정화 및 요건 분석 기간을 3개월 가량 두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략이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석 대표는 이밖에 "스마트금융은 금융사의 역량 강화와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비즈니스 모델이 확장될 것"이라며 스마트 금융센터 구성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스마트워크 스테이션 엔터프라이즈(SWSE)'를 소개했다.

웹케시는 SWSE 구축을 위해 10개 관련 전문업체와 제휴를 맺었으며 여기에 11년간의 전자금융 노하우를 접목시킨다는 구상이다. 60명의 모바일 전자금융 전문인력을 투입해 지난 1년동안 연구개발을 해왔다.

석 대표는 "SWSE는 스마트폰 비즈니스 전용 프레임워크로, 8개 영역, 63개 서비스로 구성돼 있다"면서 "지난 1년간 20여 차례의 스마트금융 프로젝트에서의 시행착오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 왔다"고 말했다.

김관용기자 kky1441@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웹케시 "금융기관의 대응 전략 키워드는 바로 이것"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